![]()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은 24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푸양 인후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근대5종 남자 펜싱 보너스 라운드(에페)와 수영, 레이저런(육상+사격 복합 종목) 결승에서 메달에 도전했다. 여기서 전웅태가 역전 드라마를 펼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총점 1508점으로 지난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이다. 전웅태는 자신이 바라던 한국의 첫 금메달은 태권도 품새에 밀려 간발의 차로 놓쳤다. 그래도 이번 대회 한국의 첫 2관왕에 올랐다.
펜싱을 압도적 1위로 출발한 이지훈(LH)은 1492점으로 은메달을 가져갔다. 한국은 상위 3명의 성적을 합쳐 결정하는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얻었다. 1477점을 낸 베테랑 정진화(LH)가 7점 차로 아쉽게 4위에 올라 개인전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고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정진화와 이지훈, 전웅태, 서창완(전남도청) 모두 22일 준결승을 통과하면서 메달에 도전할 자격을 얻었다. 22일 준결승에서 전웅태와 정진화는 A조에 속했다. 전웅태는 1146점으로 3위, 정진화는 1127점 7위에 올랐다. 이지훈과 서창완은 B조에서 경쟁했다. 나란히 1137점을 얻었고 서창완이 2위, 이지훈이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웅태는 이번 금메달로 한국 남자 근대5종 대표주자 자리를 굳혔다. 이미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금메달에 이어 2020 도쿄 올림픽 동메달을 차지하며 간판으로 떠올랐다. 한국 선수로는 최초로 올림픽에서 메달을 얻으면서 단숨에 낯선 종목 근대5종을 대중에 알렸다. 이외에도 이지훈은 2018년 아시안게임 은메달리스트, 정진화는 2020 도쿄 올림픽 4위에 오른 세계적인 실력자다. 서창완은 이번 대회가 첫 아시안게임이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웅태는 장애물에서 한 차례 페널티를 받아 293점을 얻었다. 서창완은 장애물과 시간에서 총 69점을 감점당해 231점을 올렸다. 승마까지 마친 시점에서 한국은 중국과 개인전 단체전 모두 금메달 경쟁 양자 구도를 이뤘다. 이지훈이 564점으로 1위, 전웅태가 522점으로 5위, 정진화가 515점으로 6위에 올랐다. 2위부터 4위까지는 중국 선수가 차지했다.
이어서 열린 펜싱 보너스라운드에서는 이지훈과 전웅태가 4점을 더했다. 정진화와 서창완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웅태는 수영에서 1분59초28로 종목 1위에 올랐다. 덕분에 중간 순위에서도 마지막 레이저런을 앞두고 2위까지 치고 나왔다. 이지훈이 870점으로 압도적인 1위, 전웅태가 838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정진화는 중국 3총사에 이어 824점으로 6위에 올라 있었다. 서창완은 766점으로 11위.
레이저런에서는 전웅태의 사격 실력이 빛을 발했다. 이지훈을 따라잡은 뒤 차이를 점점 벌리더니 순위까지 뒤집어버렸다. 10분30초19로 레이저런 전체 2위를 기록했다. 이지훈이 여기서 페이스가 떨어지면서 전웅태가 1위로 올라서게 됐다. 이지훈은 2개 대회 연속 은메달이다.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김선우를 제외한 3명이 모두 승마에서 0점에 그쳤지만 김세희(BNK저축은행)와 성승민(한국체대)이 레이저런에서 분전한 덕분에 카자흐스탄을 제치고 메달권에 들 수 있었다. 장해은(LH)도 김선우가 안겨준 은메달을 안고 함께 세리머니를 즐겼다.
한국 근대5종은 이번 대회 모든 종목에서 입상하며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 총 4개의 메달을 수확했다. 아시안게임 근대5종 전체 메달 수는 금메달 10개 은메달 9개 동메달 8개로 총 27개, 전체 참가국 가운데 가장 많다.
여자부는 2010년 광저우 대회부터 이번 대회까지 4회 연속 아시안게임 개인전 메달을 수확했다. 단체전에서는 2002년 부산 동메달과 2010년 광저우 은메달, 2014년 인천 금메달과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까지 단체전이 개최된 모든 대회에서 메달권에 들었다. 남자부는 근대5종이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94년 히로시마 대회부터 지금까지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가져왔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