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뜨거운 감자 ABS] 판정 논란 속 '공격형 포수' 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월드

지난 3월 ‘2024 KBO 규정-규칙 변화 미디어 설명회’에서 ABS 운영계획 등이 안내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스트라이크존이 바뀐다?”

ABS에선 투수의 볼이 홈 플레이트 스트라이크 존 중반부와 후반부를 동시에 통과해야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다. 미트로 아무리 낮은 볼을 걷어 올리고 높은 볼을 찍어 내려도 타자의 신장에 맞춰 설정되는 컴퓨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지 못하면 볼로 판정된다.

KBO는 올 시즌 ABS를 도입하면서 스트라이크 존 좌우 기준을 2cm씩 확대했다. 하지만 구장, 날씨 등에 따라 스트라이크존이 달라지는 것 같다는 지적이 종종 제기되고 있다.

높은 존 판정에 대해선 이전보다 후해졌다는 평이 나온다. ABS가 기존 스트라이브 존에 비해 높은 공을 더 잘 잡아준다는 것은 대부분 야구 관계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몸쪽 높은 공이 매번 완벽하게 제구되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는 일이다. 살짝만 제구가 흔들려도 타자의 손이나 팔꿈치, 어깨로 공이 향한다. 장기 부상으로 직결될 수 있는 위험 부위다. 이에 높은 존 판정에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칠 수 없는 공을 스트라이크로 잡아준다는 것이다.

팬들이 중계화면상으로 보기에는 ABS의 판정이 완벽해보이지만 선수들은 이전 스트라이크 존과는 다른 ABS의 볼 판정이 오히려 더 부정확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선수들이 ABS를 경험하고 적응할 시간이 물리적으로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오랫동안 활약하며 자신의 스트라이크 존이 확고하게 정립된 선수일수록 어려움이 크다.

ABS 도입은 포수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포구 위치와 상관없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을 수 있기에 긴장감이 배로 커진 것은 사실이다. 이에 포수들의 능력치를 가늠하는 기준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 인사이드워크가 뛰어난 포수를 호평했다면 지금은 ‘공격형 포수’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올 시즌 15제곱인치에서 18제곱인치로 커졌다. 이에 따라 각 베이스 간 거리가 줄면서 덩달아 증가하게된 도루 역시 수비형 포수의 설자리를 좁히는데 한 몫하고 있다.

투수들의 불만도 나올 수 있다. ABS로 존이 고정되면 장기적으로 타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공산이 크다. 사람마다 달라지는 존에 헤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ABS가 도입되면서 심판과 선수의 판정 시비가 많이 사라지자 팬들은 만족해하지만 선수 및 심판들에 대한 불신은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주형연 기자 jhy@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