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KG 연장전서 울었던 노승희, 한국여자오픈 제패…‘생애 첫 우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이저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 최종 4라운드

노승희,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으로 첫 우승 달성

올해 꾸준한 성적…대상 1위·상금랭킹 2위로 ‘점프’

조직위 코스 난도 대폭 높여…정확한 아이언 샷 빛나

1타 차 추격 당했지만…12·13번홀 연속 버디로 ‘승기’

이데일리

노승희가 16일 열린 여자골프 메이저 대회 DB그룹 한국여자오픈 최종 4라운드에서 공이 굴러가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사진=대회조직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성(충북)=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노승희(23)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2024시즌 두 번째 메이저 대회이자 내셔널 타이틀 대회인 DB그룹 제38회 한국여자오픈(총상금 12억원)을 제패했다.

노승희는 16일 충북 음성군의 레인보우힐스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4개와 보기 1개, 더블보기 1개를 묶어 1언더파 71타를 쳤다.

최종 합계 13언더파 275타를 기록한 노승희는 2위 김수지(28)를 4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2020년 정규투어에 데뷔한 노승희는 투어 5년 차, 120개 대회 만에 생애 첫 KLPGA 투어 우승을 따내는 기쁨을 맛봤다. 메이저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해 감격이 더 컸다. 2027년까지 3년 시드를 획득했다.

지난해 9월 KG 레이디스오픈에서 서연정(29)과 연장 승부를 벌인 끝에 패한 게 가장 좋은 성적이었던 노승희는 이름값이 화려한 선수는 아니다. 2022년까지 시드를 지키는 데 급급하다가 올 시즌부터 내실 있는 성적을 내왔다. 앞서 12개 대회에 출전해 컷 탈락이 한 번도 없었고 모두 40위 이내에 이름을 올렸다. 그중 톱10을 기록한 건 네 차례나 됐다.

노승희는 이 대회 전까지 우승 없이도 대상 포인트 7위, 상금랭킹 13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메이저 우승을 차지한 그는 대상 포인트 100점을 추가해 이 부문 1위(257점)로 도약했다. 우승 상금도 3억원이나 받아 올해 상금 5억 4882만 776원을 모아 상금랭킹 2위가 됐다.

노승희가 올해 견고한 경기를 펼친 끝에 첫 우승까지 차지한 비결은 정확도를 높이는 데 공을 들인 ‘아이언 샷’ 이다. 노승희는 비시즌 동안 체중 이동을 통해 아이언 비거리를 10m 가까이 늘렸고, 스핀양도 향상시켜 원하는 곳에 수월하게 공을 세울 수 있게 됐다. 올해 그린 적중률 9위(75.97%)로 상위권을 달린다.

대회조직위는 올해 마음먹고 골프장 난도를 높였다. 코스 전장이 지난해보다 30m 길어졌고 그린 스피드는 평균 3.2m를 유지했다. 가장 달라진 건 A러프를 최소 30 m로, B러프를 최대 55m까지 길렀다는 점이다. 정교한 공략을 하지 못하면 타수를 줄이기가 어려웠다. 노승희의 정확한 아이언 샷이 빛을 발한 이유다.

최종 라운드 전반까지 샷이 흔들렸지만 후반부터 다시 제 페이스를 찾은 노승희는 1라운드부터 최종 라운드까지 한 번도 1위를 놓치지 않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여자오픈에서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차지한 건 2006년 신지애(당시 3라운드) 이후 18년 만이다. 한국여자오픈이 4라운드가 된 뒤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차지한 건 노승희가 처음이다.

4타 차 선두로 최종 라운드를 출발한 노승희는 2번홀(파4)부터 샷 실수로 더블보기를 범하는 등 전반 9개 홀에서 1타를 잃고 흔들렸다. 그사이 김수지가 전반에 2타를 줄였고, 노승희는 1타 차까지 추격을 허용했다.

김수지의 거센 기세에도 노승희는 흔들리지 않았다. 노승희는 12번홀(파4)에서 웨지 샷을 핀 2m 거리에 떨어뜨려 버디를 잡았고, 13번홀(파4)에서도 아이언 샷을 3m 거리에 붙인 뒤 연속 버디를 낚았다. 김수지가 14번홀(파4)에서 2m 파 퍼트를 놓쳐 노승희는 4타 차 단독 선두를 달렸다.

노승희는 남은 홀에서 모두 파를 기록해 첫 우승에 종지부를 찍었다. 출전 선수 중 홀로 두 자릿수 언더파를 찍었다.

KLPGA 투어 통산 5승을 거뒀지만 올해 상반기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던 김수지는 이번 대회에서 준우승(9언더파 279타)을 기록하며 부활 신호탄을 쐈다.

지난해 신인왕 김민별(20)이 단독 3위(8언더파 280타), 지난달 E1 채리티오픈에서 생애 첫 우승을 품에 안은 배소현(31)이 단독 4위(7언더파 281타)에 올랐다.

장타자 방신실(20)은 아마추어 리앤 말릭시(필리핀)와 공동 5위(5언더파 283타)를 기록했고, 윤이나(21)는 공동 7위(4언더파 204타)에 자리했다.

이데일리

노승희의 드라이버 티샷(사진=대회조직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