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에 참가하는 한국대표팀 선수들이 출국하자 수많은 팬이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꿈의 1000만 관중 시대다. 내년에도 꿈의 숫자에 도달하면, 이른바 ‘쌍천만’ 시대로 접어든다. 1000만 관중은 KBO리그를 산업화할 바로미터다. 한국야구위원회(KBO)와 10개 구단이 가장 깊게 머리를 맞대야 하는 건, 안정적인 1000만 관중 시대를 여는 일이다.
올해 이른바 야구에 ‘입덕’한 2030세대가 꽤 많다. 10대 관중도 부쩍 늘었다. “최강야구를 통해 야구의 매력에 푹 빠졌다”는 사람이 60%에 이르고, ‘가성비 좋은 곳’ ‘스트레스가 확 풀리는 곳’ ‘뷰 맛집’ 등의 이유가 따라붙는다. 한 번만 더 곱씹어보면, 일명 MZ세대에게 야구장과 KBO리그가 ‘콘텐츠’가 됐다는 뜻으로 읽힌다.
한국시리즈 5차전 경기가 열린 28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앞에서 야구팬들이 열띤 응원을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시리즈 5차전이 열린 28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앞에 마련된 야외 응원 장소에 야구팬들이 북적이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때문에 지속적인 1000만 관중 시대를 위해서는 일명 ‘자체 제작 콘텐츠’가 필요하다. 최강야구는 예능프로그램이라는 특성 탓에 끝이 정해진 상태다. 시청률이라는 잣대도 있고, 출연자 몸값 등의 요인도 있다. 방송국 편성 결정권자가 “폐지하자”고 한마디 하면, 간판을 내려야 한다. 야구를 매개로 하는 또다른 프로그램이 탄생할 수도 있지만, 신규 팬 유입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어쨌든 외부 콘텐츠에 기대야 하는 상황이다.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야구 관람 중인 LG 팬들. 사진 | 함상범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키움 이주형이 송성문 생일 축하 자리에서 비디오 카메라를 살피고 있다. 사진 |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업계 시각으로 바라보면, 다음 단계는 ‘플랫폼’이다. KBO리그의 모든 콘텐츠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플랫폼이 등장하면, 팬을 한곳으로 모을 수 있다. 강력한 ‘락-인(Lock-in)’효과로 DAU(일일 활성 이용자수)가 증가하면, 2차 3차 저작물로 확장도 가능하다. KBO리그 자체가 하나의 트랜스미디어로 진화하는 셈이다.
KIA 치어리더들이 응원의 흥을 북돋우는 율동을 펼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BO 허구연 총재(가운데)가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 | 박진업 기자 upandup@spo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타깝게도 10개구단은 각자 계산기를 두드리느라 통합 마케팅이나 플랫폼 설립 등의 문제에는 관심이 없다. 1000만 관중시대를 넘어 KBO리그 문화를 세계에 전파할 기회를 스스로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팬이 만들어준 천금의 기회를 구단 이기주의 탓에 날려보내지 않을까 걱정된다. zzang@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