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5 제9회 하얼빈동계아시아경기대회(이하 ‘동계AG’)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단(단장 최홍훈)은 금메달 16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14개로 총 메달 45개, 종합 2위를 기록했다. 동계AG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을 달성하며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번 대회서 바이애슬론, 빙상 쇼트트랙 단거리 등 그동안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던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올렸다. 무엇보다 신·구 선수들의 조화로운 합작으로 자연스러운 세대교체 과정에 있음을 보여줬다.
![]() |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새 역사를 썼다. 이번 AG에서 압바꾸모바 예카테리나(전남체육회)는 한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동계AG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쇼트트랙 최민정(성남시청)은 단거리(500m)서 한국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차준환(고려대)는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에서 1위를, 스노보드 하프파이프의 김건희(시흥매화고) 선수 역시 금메달을 차지하며 한국 첫 메달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신설 종목에서도 대한민국 선수단의 활약을 엿볼 수 있었다. 프리스타일스키 하프파이프에서 이승훈(한국체대)은 금메달을, 문희성(설악고), 장유진(고려대)은 동메달을 차지하였으며, 프리스타일스키 빅에어에서는 윤종현(단국대)이 은메달을, 신영섭(강원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에서는 이채운(수리고)이 1위, 슬로프스타일과 빅에어에서 강동훈(고림고) 선수가 3위에 오르며,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 2개를 목에 걸었다. 컬링 믹스더블의 김경애(강릉시청), 성지훈(강원도청)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종목 첫 메달 사냥에 성공했다.
![]() |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피드스케이팅의 이승훈(㈜알펜시아)은 남자 팀 추월에서 은메달을 추가, 역대 동계AG 메달 합산 금메달 7개, 은메달 2개로 한국선수 최다 메달 기록(기존 쇼트트랙 김동성(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을 뛰어 넘었고, 쇼트트랙팀은 강원(1999년), 아오모리(2003년) 대회에 이어 역대 최다 메달 타이기록(6개)을 세웠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이나현(한국체대)은 시니어 첫 출전 시즌을 맞는 이번 대회의 출전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쇼트트랙의 최민정, 김태성(서울시청)은 아시안게임 신기록을 수립하는 등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강세 종목인 빙상의 힘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이번 대회는 베테랑과 신인 선수들의 조화 속에서 더욱 강화된 경기력을 엿볼 수 있었다. 종목 첫 메달을 다수 추가하며 대한민국 스포츠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거듭났다.
한편, 2025 제9회 하얼빈동계아시아경기대회는 2월 7일 개막해 34개국 1200여 명의 아시아 선수들이 참가해 기량을 펼쳤으며,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 6개 종목 222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 |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혜진 기자 hjlee@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