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4 (금)

테스형 벌써 잊히네… 로켓을 쏘는 KIA 외국인, 설마 40홈런 치는 홍창기가 나타난다고?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대전, 김태우 기자] 콘택트와 장타는 대개 반비례하기 마련이다. 장타를 치려면 포인트를 앞에 두고 힘껏 휘둘러야 한다. 그래서 변화구나 노리지 않은 공에는 취약하다. 콘택트가 떨어지면 아무래도 출루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출루율과 장타율을 모두 잡는 선수들이 그래서 희소하고, 그래서 가치가 높다. 메이저리그에서도 OPS(출루율+장타율)형 히터들이 대세를 이루는 이유다.

실제 지난해 KBO리그 순위표를 봐도 알 수 있다. 지난해 출루율 4할 이상, 장타율 0.500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단 네 명(멜 로하스 주니어·김도영·구자욱·송성문)밖에 없었다. 출루율 1위(.447)이자,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구안을 자랑한다는 홍창기(LG)도 출루율에 초점을 두고 장타율을 조금 희생한 경향이 있다. 그런데 올해 이 순위표에 새로 등장할 수 있는 선수가 등장했다. KIA의 새 외국인 투수 패트릭 위즈덤(34)이 그 주인공이다.

지난 3년간 KIA 외국인 타자로 뛰었던 중견수 소크라테스 브리토도 그렇게 나쁜 선수는 아니었다. 그래서 3년간 KBO리그에서 뛸 수 있었다. 그러나 KIA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여겼다. 외부에서 전력 보강을 할 여건이 안 되는 상황에서 외국인 선수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했다. 그렇게 KIA의 레이더에 걸린 선수가 바로 위즈덤이다. 당시 KIA 내부에서는 위즈덤과 소크라테스를 놓고 만장일치로 위즈덤의 손을 들어줄 정도로 기대가 컸다.

위즈덤의 홈런 파워는 이미 메이저리그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2018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해 지난해까지 빅리그 통산 455경기에서 뛰면서 88개의 대포를 쏘아 올렸다. 2021년 28홈런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3년 연속 20홈런 이상을 친 선수이기도 했다. 힘은 장사다. 다만 메이저리그 통산 타율이 0.209에 머물렀다. 기록만 놓고 보면 공갈포 스타일로 보인다.

하지만 KIA는 위즈덤의 선구안이 나쁘지 않다고 봤다. 충분히 공을 골라낼 수 있는 선수이며, 출루율도 일정 수준은 담보가 된다고 확신했다. 그렇기에 OPS 등 각종 지표에서 소크라테스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고 봤다. 수비도 좋고, 발도 느리지 않고, 공격에서 마냥 선풍기처럼 돌리는 선수가 아니라 여러 측면에서 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한 끝에 유니폼을 입혔다.

아직 시즌 초반이기는 하지만 위즈덤은 그 기대치를 채우고 있다. 위즈덤은 31일 현재 시즌 8경기에서 타율 0.292, 4홈런, 8타점, OPS 1.304를 기록하며 대활약 중이다. 시즌 초반 올 것으로 생각했던 적응기를 생각보다 빨리 보내고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고 있다. 세부 지표에서는 긍정적인 것들이 많이 보인다. 위즈덤이 시즌 끝까지 지금의 OPS를 유지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꾸준히 팀에 공헌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는 이유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힘은 KBO리그에서도 최정상급이다. 위즈덤은 30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열린 한화와 경기에서 한화 에이스 류현진을 상대로 좌월 솔로홈런을 터뜨렸다. 1-2로 뒤진 상황에서 팀 역전승의 발판이 되는 동점 솔로포였다. KBO리그 공식 구속 측정 플랫폼이자, 9개 구단에 트래킹 데이터를 제공하는 ‘트랙맨’의 집계에 따르면 이 홈런의 타구 속도는 무려 179.2㎞에 이르렀다. 이 정도 타구 속도를 낼 수 있는 KBO리그 타자는 지난해 홈런왕 맷 데이비슨(NC) 정도에 불과하다.

게다가 출루율도 높다. 공갈포가 아니다. 위즈덤은 8경기에서 0.471의 높은 출루율을 기록했다. 삼진은 6개를 당했지만, 볼넷은 무려 9개를 골라냈다. 보통 거포들은 볼넷보다 삼진이 두 배 이상 많은 경우가 일반적이고, 홈런을 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들이 있다. 하지만 위즈덤은 침착하게 자신의 존을 유지하면서 볼넷을 골라내고, 자신의 존 안에 들어오는 공이나 실투는 놓치지 않고 담장을 넘기고 있다. 맞으면 빠르고 크다.

수비도 코칭스태프의 합격점을 받았다. 1·3루 코너 내야 수비가 모두 가능하다. 걸음도 느리지 않아 주자가 있을 때 답답하다는 느낌을 주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득점권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해결사 기질도 보인다. 홈런이 중요할 때 적잖이 나왔다. 소크라테스의 이름이 예상보다 일찍 잊히고 있는 가운데, 이런 성적을 바탕으로 타순도 앞으로 당길 가능성이 높아 올해 대박이 기대를 모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