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런 KIA는 외국인 선수 쪽으로 시선을 돌렸다. 지난해보다 더 좋은 외국인 선수들을 데려오면 팀 전력은 자연스럽게 향상된다는 간단한 논리였다. 그 과정에서 지난 3년간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던 외국인 타자 소크라테스 브리토도 교체하기로 했다. 메이저리그에서 통산 88홈런을 친 우타 내야수 패트릭 위즈덤(33)이 끌렸다.
기록만 놓고 보면 위험부담이 있었다. 위즈덤은 메이저리그 통산 타율이 0.209로 높은 편은 아니었고, 삼진 비율도 높은 선수였다. 표면적인 기록만 따지면 공갈포 유형에 가까웠다. KIA는 내부적으로 위즈덤의 선구안도 나쁘지 않고, 한국에서는 삼진 비율이 줄어들 것이라 확신했다. 다만 뚜껑은 열어봐야 했다. KBO리그 적응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었다.
그런데 조짐은 캠프 때부터 좋았다. KIA를 대표하는, 그리고 KBO리그를 대표하는 타격 장인들이 위즈덤의 훈련 과정을 지켜보더니 대번에 합격점을 내렸다. 파워는 듣던 대로 가공할 만하고, 타석에서의 선구안이나 참을성도 좋다는 것이었다. 단순히 동료라 ‘립서비스’를 한 것은 아니었다. 설명이 꽤 구체적이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런 위즈덤은 두 선수의 평가대로 시즌 초반 순항하고 있다. KBO리그 적응에 다소간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초반에 고전하지 않으며 오히려 호성적을 기록 중이다. 위즈덤은 시즌 첫 8경기에서 타율은 0.292로 3할에 못 미치지만 무려 9개의 볼넷을 골라내 출루율은 0.471에 이른다. 홈런 네 방을 터뜨려 장타율도 0.883이다. 출루율과 장타율의 합인 OPS는 1.304다. 화려한 출발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즌 8경기 활약은 결과가 중요한 게 아니다. 심리가 더 중요하다. 고비를 넘기고 넉넉하게 성적을 쌓은 위즈덤은 조금 더 편안하게 타석에 들어갈 수 있다. 한 타석 못 쳐도, 다음 타석이나 다음 경기에서 치면 된다는 생각이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벌어놓은 성적이 한 타석이나 한 경기 결과로 망가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투수는 더 긴장하게 던질 수밖에 없다. 실투가 나올 확률이 더 커진다. 그렇다고 특정 구종에 약점을 보인 것도 아니다. 전성기 배리 본즈가 그랬다. 위즈덤과 본즈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금 출루율과 장타율을 유지할 수 있다면 KBO판에서는 충분히 그런 수식어를 붙일 수도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