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9 (화)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단독] 'K-스포츠' 미래 투자 없다?…스포츠 R&D 예산 '96% 삭감' 논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정형근 기자] 한국 스포츠산업의 성장을 이끌 핵심 동력인 스포츠산업기술 연구개발(R&D) 사업이 존폐 위기에 직면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이 해당 사업을 이관받은 지 불과 3년 만에 예산이 무려 96%나 삭감되며, 미래 스포츠 산업 투자를 사실상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스포츠산업기술 연구개발(R&D) 사업은 스포츠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민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정부가 주도하는 핵심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2021년까지는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수행했다. 공단에서 사업을 수행할 때는 매년 사업 예산과 규모를 늘리며 적극적인 연구 개발이 이뤄졌다.

그런데 정부에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22조에 따라 R&D사업의 기획, 평가, 관리, 업무 기관을 부처별로 하나의 전문 기관으로 두기로 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문체부는 산하 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을 전문기관으로 지정했고, 국민체육진흥공단은 2022년 1월부로 스포츠산업기술 R&D 사업과 예산 약 207억 원을 콘진원으로 넘겼다.

2022년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콘진원에 이관한 사업은 모두 3가지였다. 스포츠산업 혁신기반 조성(약 137억원)과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40억 원), 스포츠서비스사업화지원(약 30억 원) 사업이다.

그러나 콘진원이 사업을 맡은 이후 상황은 급변했다. 스포티비뉴스의 취재 결과 2023년부터 관련 예산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2023년 예산은 189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2024년에는 29억 원으로 ‘급감’했고, 올해는 8억 원이라는 충격적인 수준으로 삭감됐다. 200억 원에 달하던 미래 스포츠 투자 동력이 불과 3년 만에 8억 원으로 '쪼그라든' 것이다.

스포츠산업기술 연구개발(R&D) 사업 예산 규모

2019년: 약 49억 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사업 수행)
2020년: 약 79억 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사업 수행)
2021년: 약 177억 원 (국민체육진흥공단 사업 수행)
2022년: 약 207억 원 (국민체육진흥공단→콘진원으로 사업 이관)
2023년: 약 189억 원 (콘진원 사업 수행)
2024년: 약 29억 원 (콘진원 사업 수행)
2025년: 약 8억 원 (콘진원 사업 수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계는 ‘극단적인’ 예산 삭감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데이터 시대로의 전환 속에서 스포츠 데이터 분석, AI 기반 서비스 개발 등 미래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인 R&D 투자를 스스로 포기하는 처사라는 비판이다.

스포츠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AI 기반 훈련 시스템 개발, 스포츠 공정 경쟁 기술 확보 등의 중장기 로드맵 역시 ‘예산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벽에 가로막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스포츠산업 관계자는 “미래 성장 동력을 스스로 걷어차는 어리석은 결정”이라며 “눈앞의 어려움에 급급해 미래를 담보로 예산을 삭감하는 행태는 한국 스포츠산업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타 산업 분야에 비해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스포츠 R&D가 홀대받는 것은 부당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략적인 투자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벼랑 끝에 몰린 스포츠 R&D 사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스포츠산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R&D 예산의 과감한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체부와 콘진원의 책임 있는 해명과 함께,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다.

콘진원 관계자는 "24년부터 시작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삭감·구조조정 및 편성 기조 변화 등이 스포츠산업 연구사업 규모 축소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체육관광 R&D 중장기 비전 체계에 따른 13개 핵심과제 중 스포츠 분야는 3개 과제에 해당한다. 2개 과제는 26년 신규 사업으로 기획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체부와 콘진원은 스포츠 R&D 예산 확보를 위해 해당분야 기술기획책임자(PD)와 함께 다양한 신규사업을 기획획했다. 분야별 미래 유망기술 발굴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기획 등의 활동으로 전력을 다했으나 과기부 등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심의 과정에서 최종 조정됐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