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SBS '조선구마사' 양녕대군 역 박성훈, 벼리 역 김동준, 무화 역 정혜성, 태종 역 감우성. 스튜디오플렉스, 크레이브웍스, 롯데컬처웍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역사 왜곡 논란으로 결국 방송 취소된 SBS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극본 박계옥, 연출 신경수, 제작 스튜디오플렉스·크레이브웍스·롯데컬처웍스)의 배우들이 줄지어 사과하고 있다.
극중 양녕대군 역을 맡은 박성훈은 27일 인스타그램에 자필 사과문을 올렸다. 박성훈은 "먼저 이번 사태에 대해 많은 분들께서 따끔하게 꾸짖어주시고 우려해 주시는 글들을 빠짐없이 읽어보며 '조선구마사'의 출연 배우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라고 썼다.
이어 "작품으로 실존 인물을 다룸에 있어 부담감과 조심스러운 마음을 가져왔음에도 불구하고 창작과 왜곡의 경계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지 못했습니다. 그저 배우로서의 소임은 연기에 진심으로 다가서 주어진 캐릭터에 최선을 다하면 된다는 어리석고 모자란 생각이 있었습니다"라고 해명했다.
사당패의 살판쇠 벼리 역을 연기한 김동준도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신중하게 작품을 선택해야 하는 배우로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드리지 못했습니다. 특히 어떤 방식으로든 가볍게 다루어서는 안 되는 역사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한 점 진심으로 죄송합니다"라고 인스타그램 글을 올렸다.
국무당의 도무녀 무화 역의 정혜성도 인스타그램에 자필 사과문을 게재했다. 정혜성은 "제대로 된 역사 인식을 갖고 작품에 임하지 못한 점,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 전합니다"라며 "개인을 넘어 국민으로서 무엇보다 배우라는 직업을 가지고 제가 참여한 작품이 대중들에게 줄 영향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지 못한 저의 부족함입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저의 부족함으로 상처 입으신 분들께 정말로 죄송하다는 말씀 전하고 싶습니다"라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정확한 역사의식을 갖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더욱더 성숙한 배우이자 사람이 되겠습니다"라고 전했다.
27일 각자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배우 박성훈과 정혜성의 자필 사과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선구마사'가 역사 왜곡 논란으로 비난이 빗발치자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을 비공개 전환한 감우성은 소속사 WIP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사과문을 전했다. 감우성은 "'조선구마사'에 출연한 배우이자 제작진의 일원으로서 시청자들을 포함,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더욱이 대중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배우로서 보다 심도 있게 헤아리지 못해 실망감을 안겨드린 점 역시 송구스러운 마음"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지난 5개월여 동안 드라마 제작을 위해 노력해주신 감독님이나 제작 현장의 스태프, 그리고 촬영에 임한 배우들 모두 각자 맡은 역할만을 소화하다 보니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금번의 드라마 폐지에 이른 점, 드라마 제작에 참여한 일원으로서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밝혔다.
'조선구마사'는 홍보 당시부터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을 언급하며, 인간의 욕망을 이용해 조선을 집어삼키려는 악령과 백성을 지키기 위해 이에 맞서는 인간들의 혈투를 그린 한국형 엑소시즘 판타지 드라마를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조선구마사'는 첫 방송 후부터 중국식 소품과 복식 사용 등 고증 실패, 태종·충녕대군 등 실존 인물에 대한 비하적 묘사로 역사 왜곡 논란을 자초했다.
시청자들의 끊임없는 비판과 광고주의 광고 철회, 장소 협조 취소 등이 쌓여 결국 SBS는 2회 만에 방송을 취소했다. 제작사 역시 해외 판권 계약을 해지하고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도 중단하겠다고 26일 알렸다. 이후 극중 충녕 역을 연기한 배우 장동윤이 처음으로 사과문을 올렸고 뒤이어 이유비, 박성훈, 김동준, 정혜성, 감우성 등이 사과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