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올림픽'

올림픽 끝, 도핑 후폭풍은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베이징올림픽에서 도핑 파문을 일으켜 조사를 받는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스타 카밀라 발리예바(가운데). 미성년자 발리예바를 지도한 예테리 투트베리제(왼쪽) 코치도 조사 대상이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중국 베이징 수도체육관에서 열린 베이징 겨울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 경기. ‘피겨 천재’로 각광 받던 카밀라 발리예바(16·러시아)는 연신 엉덩방아를 찧었다. 내내 침울한 표정이던 그는 연기를 마친 뒤 결국 눈물을 터뜨렸다. 최종 순위는 4위. 유력한 금메달 후보가 입상에 실패했지만, 위로나 격려는 없었다. 수많은 카메라와 전 세계 스포츠팬이 지켜보는 가운데 발리예바는 철저히 혼자였다.

겨울올림픽은 막을 내렸지만, 발리예바의 도핑 파문 후폭풍은거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이미 발리예바의 금지 약물 복용과 관련, 조사에 들어갔다. 금지 약물을 복용한 선수는 통상 4년 자격정지 징계를 받는다. 그러나 발리예바는 16세 이하 미성년자이기에 2년 정지 또는 경고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금지 약물을 사용했다가 적발돼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 스포츠 스타는 수없이 많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육상 남자 100m 세계신기록(9초79)을 세웠다가 약물(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을 복용한 사실이 드러나 실격당한 벤 존슨(캐나다)이 대표적이다.

20세기 초반엔 경기 중 술 주기도

올림픽 무대는 아니지만, 고환암을 극복하고 세계적 권위의 사이클 대회 ‘투르 드 프랑스’에서 7차례나 우승했던 랜스 암스트롱(미국)은 에리트로포이에틴(혈액생성촉진 호르몬)을 사용한 사실이 적발돼 충격을 줬다. 축구스타 디에고 마라도나(아르헨티나)와 미국 메이저리그 강타자 배리 본즈는 각각 에페드린(신경흥분제)과 PED(경기력향상물질)의 도움을 받았다.

중앙일보

도핑과 반도핑의 역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발리예바나 암스트롱처럼 세계적 기량을 갖춘 선수들이 왜 도핑의 유혹에 무너질까. 스포츠심리학자 김병준 인하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운동선수는 ‘경쟁자를 이겨야 한다’는 우월 성향(Ego Orientation)과 ‘나 자신을 넘는다’는 향상 성향(Task Orientation)을 공유한다. 두 성향이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하는데, 경쟁에서의 승리를 절대 가치로 두는 순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잘못을 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영길 한국체대 사회체육학과 교수는 “벤 존슨의 경우 ‘내부적 요인’에 무너진 케이스로 볼 수 있다”면서 “발리예바는 16세 어린 선수라는 점에서 코치나 대표팀 관계자를 포함한 상위 그룹의 지시 등 ‘외부적 요인’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도핑의 역사는 인류 스포츠 발전사의 그림자나 마찬가지다. 종목별 경기력 향상을 위한 노력의 뒤안길에 ‘약물 요법’이 있었다. 기원전 고대 이집트인들이 달리기 선수의 기량 향상을 위해 노새 발굽을 갈아 만든 가루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다.

‘도핑(doping)’이라는 용어는 18세기 남아프리카공화국 카필족 전사들이 사냥에 나서기 전 마신 흥분제 성분의 음료(dop)에서 유래했다. 이후 경마 출전을 앞둔 말에게 흥분제를 투여하는 것을 ‘도핑(doping)’이라 불렀고, 운동선수의 약물 요법에도 같은 명칭이 따라붙었다.

올림픽 초창기엔 도핑이 공공연히 사용됐다. 20세기 초반까지도 체력이 떨어진 장거리 육상, 사이클 선수에게 경기 중에 술을 주거나 근육자극제를 주사하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스포츠 금지약물의 대명사인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은 고혈압 및 당뇨 치료제로 개발됐다. 개발진이 1939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혁신적 의약품이지만, 근육 강화를 통한 경기력 향상 효과가 확인되면서 한때 병원보다 경기장에서 자주 접하는 이름이 됐다.

선수 건강 해치자 ‘도핑 규제’ 생겨

중앙일보

종목별 금지약물의 효능과 부작용


올림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종목이 다양화하면서 도핑 기술도 빠르게 발전했다. 근육 도핑(근력), 두뇌 도핑(집중력), 혈액 도핑(지구력과 회복력) 등 분야도 세분화됐다.

도핑에 규제가 생긴 건 해당 약물의 부작용이 선수의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이 드러난 이후부터다. 1960년대 사이클 선수들 사이에서 암페타민(신경흥분제)을 과도하게 쓰다 사망하는 사례가 속출하자 IOC가 팔을 걷어붙였다. 1968년 그르노블 겨울올림픽과 멕시코시티 여름올림픽부터 일부 약물에 대해 사용 제한 규정을 만들었다. 1988 서울올림픽 당시 40여 종이던 금지약물은 20일 폐막한 베이징올림픽에선 500여 종까지 확대됐다.

약물 관련 규제가 나날이 강화되는 추세지만, 검은 시도는 끊이지 않는다. 방해 도핑(금지약물 사용 사실을 은폐하는 약물을 함께 투여)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엔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해 운동 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DNA를 몸 안에 주입하는, 이른바 ‘DNA 도핑’도 등장했다.

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