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1 (일)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매일 심판 판정 논란… 스트라이크 비디오 판독, KBO에 절충안 될 수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티비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김태우 기자] 야구의 곳곳에서 비디오 판독을 신청할 수 있는 시대지만, 가장 중요하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지점인 스트라이크-볼 판정은 아직 사람, 심판 고유의 영역이다. 오심도 야구의 일부분이라는 말이 있지만, 그 오심이 경기 양상을 쥐락펴락할 경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사실 예전보다 심판들이 정확한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은 시대다. 기본적으로 물리적인 구속이 더 빨라졌다. 사람이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 것이다. 여기에 변화구들도 더 날카로워지고 홈플레이트 앞에서 살짝 휘는 변형 패스트볼이 늘어남에 따라 심판들의 고충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실제 메이저리그 심판들의 판정 정확도도 평균 92% 수준이다. 100개를 보면 8개는 오심이 난다는 의미다.

기계의 힘을 빌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막상 도입까지 갈 길이 먼 것도 사실이다. 아직 기계의 신뢰성이 완벽하지 않은 게 가장 크고, 심판의 권위를 해치거나 경기 진행이 늘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그렇다면 최근 마이너리그에서 본격적으로 실험에 들어간 스트라이크-볼 판정 비디오 판독은 하나의 중간 다리가 될 수 있다.

전체 판정을 기계가 하는 게 아니라, 각 팀에 스트라이크-볼 판정에 대한 비디오 판독 권리를 주는 것이다. 현재 마이너리그 실험에서는 각 팀당 세 차례 기회를 준다. 성공하면 판독 기회는 유지된다. 결정적인 순간 활용할 수 있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이 제도 도입을 위해 판독을 할 호크아이 시스템, 그리고 기계와 심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장비를 실험하고 있다.

실제 활용해보니 판독까지 3~4초면 충분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경기 진행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판독 결과에 대해서는 양 팀 모두 수긍할 수밖에 없으니 잡음도 없다.

사실 하루 200개의 볼 판정을 한다고 하면, 어떤 심판이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코스의 공이 대부분이다. 이건 사람이 하든 기계가 하든 결과에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인간이 보기 어려운 아주 애매한 코스가 문제고, 항상 이 코스에 들어오는 공이 불만의 씨앗이 된다. 여기서만 기계의 힘을 빌리자는 것이다.

어차피 사람이 100% 정확한 콜을 하기 어렵다는 건 선수나 팬들이나 모두가 이해한다. 대신 실수를 바로잡을 기회를 주고, 모든 공을 기계가 판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판의 권위 또한 크게 손상되지 않는다. 사람을 '대체'한다는 명제가 다소 거북한 게 사실이라면, 사람을 '보완'한다는 명제는 여러 구성원의 거부감도 줄일 수 있다.

경기 중 바로 잡을 기회가 있으니 불필요한 감정 싸움도 필요하지 않다. 인정하지 않는다면 판독을 신청하면 그만이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면 된다. 선수들도 심판의 어려움을 이해하기에 오심을 비난할 것도 아니다. 심판들도 경기 중간중간 존을 재설정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KBO리그에서도 매일 스트라이크-볼 판정을 놓고 은근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고, 올해만 해도 벌써 몇 차례나 이와 관련된 퇴장 사례가 나왔다. KBO도 퓨처스리그에서 로봇 심판을 실험하고 있지만 아직은 이질감이 있다. 물론 정확한 판독 기술이 전제되어야 하지만, 비디오 판독 범위가 확대되는 가운데 볼 판정 비디오판독은 절충안이 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