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까지 바이에른 뮌헨이 분데스리가에서 치른 4경기를 기준으로 빌트가 매긴 선수 순위에서 김민재는 9위에 올랐다.
분데스리가 4경기에서 모두 선발 센터백으로 호흡을 맞춘 다요 우파메카노보다 낮은 순위다. 빌트는 우파메카노를 7위로 평가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우파메카노에 대해선 "조슈아 키미히에 이어 두 번째로 출전 시간이 많은 우파메카노는 커리어 내내 문제로 제기됐던 중요 순간에 서투른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다. 옐로카드 두 장 모두 불필요했지만, 위험 위치가 아니었다"며 "바이에른 뮌헨 팬들은 그가 겨우 25세라는 사실과 우파메카노의 전성기가 가까워졌다는 사실을 종종 잊는다"고 치켜세웠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빌트가 평가한 대로 현재까지 김민재는 경기마다 차이를 보였다. 1라운드였던 볼프스부르크전에서 선발 출전했는데, 후반 10분 백 패스 과정에서 치명적인 실책을 저질렀다. 이는 결국 볼프스부르크의 역전 골로 이어졌다.
바이에른 뮌헨은 3-2로 역전에 성공하며 볼프스부르크를 꺾었지만, 독일 매체를 기다렸다는 듯이 김민재를 비판했다. 특히 지난 시즌부터 김민재를 부정적으로 지켜봤던 바이에른 뮌헨 레전드 로타어 마테우스는 “김민재는 나폴리 시절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는 빠른 패스 게임에 안정적이지 못하다. 난 처음부터 김민재의 그런 점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콤파니 감독은 김민재를 향한 신임을 거두지 않았고, 김민재는 4라운드 브레벤과 경기에서 시즌 최고 활약으로 콤파니 감독의 믿음에 부응했다. 우파메카노와 중앙 수비를 맡은 김민재는 전반 19분 상대가 동료로부터 공을 빼앗아 역습을 전개하려는 찰나에 적극적인 수비로 공을 재탈취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경기 막판에는 뚫리면 곧바로 실점 위기를 맞을 상황에서 깔끔하게 공을 빼앗는 장면을 연출하며 완벽한 수비력을 뽐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베르더 브레멘은 슈팅 횟수가 0개였다. 바이에른 뮌헨은 25번이었다. 중요한 순간마다 상대의 슈팅 기회를 막아낸 김민재의 존재감이 상당했다는 뜻이다.
축구통계업체 풋몹은 김민재에게 평점 8점으로 호평했으며, 후스코어드닷컴 역시 김민재에게 평점 7.96점을 매겼다. 김민재는 우파메카노와 함께 분데스리가 이주의 팀에 뽑혔으며, 평점을 기반으로 선정하는 '후스코어드닷컴 분데스리가 이주의 팀'에도 승선했다.
지난 시즌 바이에른 뮌헨 유니폼을 입은 김민재를 독일 언론들로부터 유독 '박한' 평가를 받아 국내에서 논란이 됐다. 독일 언론들은 입단 이후 시즌 내내 김민재의 기량에 의구심을 제기했다. 토마스 투헬 감독과 불화설에 이어 1시즌 만에 방출설까지 제기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키커는 지난 4월 김민재에 대한 측집 기사를 실으며 "김민재가 지난 시즌 세리에A 최우수수비수로 선정된 것을 고려하면 지금의 부진이 놀랍다. 이탈리아는 수비를 예술로 만든 리그"라면서 "그런데 27살 김민재의 수비력은 바이에른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는 적극적으로 수비할 때와 물러날 때의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판단력이 부족해 보인다. 이제는 자신감 부족인지 필요한 능력이 없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혹평했다. 키커지는 전반기 김민재의 활약에 의문부호를 내비치며 다이어와 더리흐트 조합을 써야 한다고 가장 적극적으로 주장했던 언론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빌트는 김민재가 시즌 최고 활약을 펼친 브레벤과 경기에서도 평점 3점으로 박한 평가를 내린 바 있다. '빌트' 평점은 1점(최고점)~5점(최저점)으로 환산된다. 낮으면 낮을수록 경기에서 잘했다는 뜻이다. 평점 3점은 어느 정도 무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날 바이에른 뮌헨 팀 내에서 가장 낮은 평점이 3점이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