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2 (수)

독주하는 이란-일본, 혼돈의 C조…亞 3차예선 북중미행 조기확정팀 더 나올까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apan's national team coach Hajime Moriyasu speaks during a press conference in Chiba on March 13, 2025. Liverpool's Wataru Endo and Brighton's Kaoru Mitoma were named in Japan's squad on March 13 as they look to become the first team to qualify for the 2026 World Cup. (Photo by JIJI Press / AFP) / Japan OUT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ILE - Japan's manager Hajime Moriyasu looks on before the start of the World Cup 2026 Group C qualifying soccer match between Australia and Japan at Saitama Stadium in Saitama, Japan, Tuesday, Oct. 15, 2024. (AP Photo/Eugene Hoshiko,File) AP FILE PHOT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FIF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훨씬 넓어진 '북중미월드컵'으로 가는 길, 벌써 끝자락을 향하고 있다. 20일 열리는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7차전 일정은 홍명보호 뿐만 아니라 아시아 축구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승부다. 본선 참가국이 48개국으로 확대되면서 기존 4.5장이었던 아시아팀의 본선행 티켓도 8.5장으로 크게 늘어났다. A~C조 각 1, 2위 총 6팀이 본선에 직행하는 가운데, 2.5장을 놓고 싸우는 플레이오프 출전권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이번 3월 2연전을 통해 본선행을 조기 확정하고자 하는 '윗물'과 실낱같은 희망을 되살리고자 하는 '아랫물'의 경쟁이 절정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B조는 홍명보호 천하다. 4승2무, 승점 14점으로 B조 1위인 한국이 오만, 요르단과의 홈 2연전을 모두 잡으면 남은 두 경기 결과와 상관 없이 최소 B조 2위를 확보해 북중미로 직행하게 된다. 아시아 예선 순위에 따라 타 대륙 팀과 플레이오프를 벌이는 제도가 도입된 이래, 한국은 매 대회 무난하게 본선행의 역사를 이뤄왔다. 이번에도 그 흐름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고, 이번달 오만 요르단과의 두 차례 홈 경기에서 본선행이 확정될 수 있다. 이런 홍명보호의 뒤를 따르는 팀은 이라크다. 쿠웨이트, 팔레스타인과 2연전을 치르는 2위 이라크(승점 11)도 2연승에 성공하면 최소 플레이오프 출전권을 확보하게 된다.

A조는 5승1무, 승점 16점을 기록 중인 이란이 독주 체제를 갖췄다. 일찌감치 최소 플레이오프 진출 요건을 갖춘 이란은 안방에서 아랍에미리트(UAE·승점 10·3위)와 우즈베키스탄(승점 13·2위)을 차례로 상대한다. 이란 역시 홍명보호와 마찬가지로 이번 3월 2연전에서 본선행 조기 확정을 노리고 있다. 우즈베키스탄과 UAE가 좀 더 유리한 위치에 있는 가운데, A조 4위 카타르(승점 7)는 키르키스스탄(승점 3·5위)과 북한(승점 2·6위)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는 상황이다.

최대 관심사는 혼전이 펼쳐지고 있는 C조다. 일본은 5승1무, 승점 16점으로 선두를 질주해온 가운데 이미 플레이오프행을 확보한 상태. 이번 2연전에서 바레인(승점 6·골득실 -5·5위)과 사우디아라비아(승점 6·골득실 -3·3득점·4위)에 모두 이기면 남은 두 경기 결과와 상관 없이 본선행이 확정된다. 당초 일본과 함께 C조 3강으로 지목됐던 호주(승점 7)가 2위, 사우디아라비아가 4위지만, 예상외의 부진 속에 본선행을 장담할 수 없는 위치다. 이번 3차예선 최대 이변의 주인공 인도네시아(승점 6·골득실 -3·6득점·3위) 뿐만 아니라 바레인, 중국(승점 6·골득실 -10·6위)까지 본선행을 노릴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귀화 선수를 앞세워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낸 인도네시아는 신태용 감독을 경질하고 현역시절 스타였던 네덜란드 출신인 파트리크 클라위버르트 감독을 선임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중국 역시 지난 1월 소집훈련을 실시한 가운데, 최근 브라질 출신 사이얼지니아오(세르지뉴의 중국명)를 귀화시키면서 전력을 보강했다.

3차예선은 오는 6월 5~11일 9, 10차전으로 막을 내린다. 각 조 3~4위 6팀은 10월 중립지역에서 3팀씩 2개조로 나눠 플레이오프 풀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 2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2위 2팀은 11월 홈 앤드 어웨이로 1장의 본선 출전권을 다툰다. 플레이오프 2위간 맞대결 승자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나선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