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수)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설립 닻 올려…정부 "대규모 수요 창출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일 은행회관 설명회 열려…인센티브에 관심 집중

최저 국고채 금리 수준·정부 수요 창출 약속

2030년까지 국내 AI 반도체 비중 50%까지 높이는 조건

5월 사업 참여 계획서 제출…10월 중 SPC 설립 목표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정부가 국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절차를 본격화한다. 국내외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정책금융 대출의 금리를 국고채 수준까지 낮춰 제공하고 대구모 수요를 창출하는 방안을 추가로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선정 기업 지원 방안을 밝혔다. 설명회에는 지자체 관계자, 반도체 개발사, IT 서비스 업체, 이동통신사,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CSP), 클라우드관리서비스업체(MSP) 등 다양한 분야 관계자들이 참석해 북새통을 이뤘다.

이날 참가자들은 SPC에 민간 기업이 참여할 경우 주어지는 혜택과 인센티브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 같은 질문에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가 구축이 되면 국내에서 굉장히 대규모의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 같은 대규모 공급의 대응해 대규모 수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것을 검토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데일리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이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민간 사업자에 정책금융을 통한 저리대출을 지원할 때 금리 수준에 대한 질문에 산업은행 담당자는 “대출 심사 절차는 기존 은행의 심사 절차와 동일하게 신용 등급 담보 조건 여신 기간에 따라서 신용리스크 프리미엄이 가산이 되는데, 주목할 부분은 최저 국고채 금리 수준까지 제공이 가능하다. 즉, 국가가 조달하는 금리 수준까지 대출을 지원한다는 얘기다”고 강조했다.

사업자 선정 절차에 관한 질문도 이어졌다. 오는 28일 마감인 ‘참여 의향서 제출’ 이후 최종적으로 사업 참여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느냐는 질문에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제출 하지 않아도되고 어떠한 구속도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제출하면 된다. 컨소시엄을 구성할 때 반드시 의향서를 제출한 기업이 한 개 있어야 하므로 적극적으로 제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후 상세 일정에 대해선 “5월 30일까지 사업 참여 계획서 접수를 완료하고 6월에 기술 및 정책 평가 단계를 진행해 우선 협상 대상자를 선정한다. 이후 기업에 대해 금융 심사를 거쳐 통과한 경우 SPC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10월 안에 SPC 설립을 완료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구축된 센터의 운영에 관해서는 민간 사업자 자율에 맡기지만 스타트업이나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서 평가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서비스 요금이나 대상은 사업 참여 계획서를 작성하실 때 자유롭게 구성하면 된다”면서도 “다만, 이 사업을 통해서 산업계, 연구자들에게 고품질의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겠다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AI G3 도약을 위한 전초기지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조 규모의 민관 합작 투자를 통해 SPC를 설립하고, 2027년까지 1엑사플롭스 이상, GPU 3만장 규모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공공과 민간 각각 51% 대 49% 비율로 출자한다.

컨소시엄에는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기업과 AI컴퓨팅 서비스 구축·운영 기업이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 대학과 연구소,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등의 AI 연구개발을 위해 저렴한 요금 수준으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운영하며, 국산 AI 반도체 비중을 지속 확대해 2030년까지 50% 수준을 갖춰야 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가 AI컴퓨팅 센터로 대표되는 첨단 인프라에 뛰어난 인재, 소프트웨어 혁신이 더해질 때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민간과 정부가 긴밀하게 협력해야만 한다”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