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뉴스
-
[기자수첩] '꽃샘추위'가 지나고 '꽃'이 피려면
"고금리 장기화로 민생이 어렵고 부문 간 회복속도 차이로 온기가 확산되지 못한 꽃샘추위 상황입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 2023.12.07 05:45
- 머니투데이
-
[특허, 톡!] ‘상표 공존동의제’를 아시나요
상표 공존동의제도를 포함하는 상표법 개정안이 내년 5월 1일자로 시행된다. 상표 공존동의제도는 유사한 선출원 또는 선등록 상표- 2023.12.07 05:00
- 이투데이
-
[시론] 일본發 호스트클럽 주의보
일본 도쿄 신주쿠 가부키초에는 요새 사건이 터지지 않는 날이 없다. 그 중심에는 호스트클럽들이 있다. 최근 여성 고객이 호스트- 2023.12.07 05:00
- 이투데이
-
[이투데이 말투데이] 여연지필(如椽之筆)/스코빌지수
☆ 척 예거 명언 “진정한 장벽은 공중에 있지 않았다. 그것은 초음속 비행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경험에 있었다.” 제2차 대전 때 적 전투기 11.5대를- 2023.12.07 05:00
- 이투데이
-
[박덕배의 금융의 창] 상생금융 본질은 ‘금융소외 해소’
은행들 수익성 치중, 서민대출 홀대 외부압박에 상생기금 조성 ‘미봉책’ BoA·씨티銀 서민금융 확대 본받길 최근 대통령이 ‘종- 2023.12.07 05:00
- 이투데이
-
[사설]제동 걸린 달빛철도...눈치보기 속도 조절이 전부인가
여야가 짬짜미로 밀어붙이려던 달빛고속철도 특별법이 포퓰리즘 논란에 부딪히며 제동이 걸렸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그제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여야 의원- 2023.12.07 05:00
- 이데일리
-
[사설] 방통위원장 인사 무리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검사 출신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명했다. 전임 이동관 방통위원장 사퇴 후-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오늘의 1면 사진] 기업 총수들과 부산 찾은 윤 대통령 “엑스포 유치 활동 감사”
윤석열 대통령이 6일 부산 중구 깡통시장을 찾아 엑스포 유치를 위해 함께했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기업 총수들과 떡볶이를-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사설] 조 후보자, 재판지연과 영장남발 개선 약속 긍정적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가 이틀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밝힌 사법 현안에 대한 입장은 전향적이다. 그는 사법부의 재판지체와 수사기-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골목경제도 살리는 서울시 '지역관광 랩'[기고]
2024년 새해, 여행 트렌드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한국인 여행자들은 본인만의 '부캐'(부캐릭터)를 설정해 평소 모습이 아-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기억할 오늘] 미국인들이 지닌 진주만의 '신화'
12.7 진주만 공습과 '에토로후 긴급발진' 일본의 진주만 공습(1941.12.7) 80주년이던 2021년 12월 시사주간지-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추경호에게 권하는 '8년전 출사표'
편집자주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포토에세이] 벽돌 틈의 상대성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의 담장 위에 장난감 자동차가 놓여 있다. 담장은 보통 사람의 허리 아래 정도의 높이여서 운동신경이-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붕어빵에서 버릴 '앙꼬' [달곰한 우리말]
편집자주욕설과 외계어가 날뛰는 세상. 두런두런 이야기하듯 곱고 바른 우리말을 알리려 합니다. 우리말 이야기에서 따뜻한 위로를- 2023.12.07 04:30
- 한국일보
-
[사설] 방통위원장까지 검사 출신, 꼭 이렇게 해야 하나
윤석열 대통령은 6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검사 출신인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명했다. 국회 청문회를 거쳐 임명되면 방통위- 2023.12.07 03:14
- 조선일보
-
[사설] 채용 계획 내고 본인이 합격, 혀를 차게 하는 공공기관들
국민권익위원회가 공공기관 825곳의 채용 비리에 관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454기관에서 채용 절차 위반이 확인됐다. 공기업- 2023.12.07 03:12
- 조선일보
-
[일사일언] 결과는 아무도 모른다
요즘은 매우 손쉽게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부터 유튜브까지 음악의 유통 채널로 등장하면서 들을 수 있는 음악의 숫자는 거의 무한대에 가- 2023.12.07 03:00
- 조선일보
-
[장유정의 음악 정류장] [110] AI 기술이 낳은 ‘디지털 부활’
지난달 놀랄 만한 소식이 들려왔다. ‘비틀스(Beatles)’가 신곡 ‘나우 앤 덴(Now And Then)’으로 영국 공식 차트에서 1위를 했다는 것이- 2023.12.07 03:00
- 조선일보
-
[경제포커스] 은행이 ‘따뜻한 이자’를 받았으면 좋겠다
올해도 은행장들은 김장을 담갔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은행장과 임직원 등이 ‘취약 계층 겨울나기를 위한 김장김치 나눔 봉사- 2023.12.07 03:00
- 조선일보
-
[오세혁의 극적인 순간] 상상의 오락실
1980년대 후반, 전자오락실이 우리 동네에 처음 등장했다. 그 충격은 정말 엄청났다. 거의 모든 아이가 틈만 나면 오락실로 달려갔다. 내 친구들은 집에- 2023.12.07 03:00
- 조선일보
-
[김명섭의 그레이트 게임과 한반도] [16] 김구와 충돌 후 이동휘 러시아로… 한국 이념 분열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러시아 내전과 대한 독립 운동의 분열 1917년에 시작된 러시아 내전으로 5백만명 이상이 죽었다. 미국 남북전쟁(1861~65- 2023.12.07 03:00
-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