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도내 50여개 기업 대상 주4.5일제 시범사업 도입
![]() |
김동연 지사가 7일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인 브레인벤쳐스를 찾아 직원들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제공=경기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하루 6시간씩 ‘주30시간 노동제’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을 직접 방문해 경영 현황을 살폈다.
김 지사는 7일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인 브레인벤쳐스를 찾았다. AI 스타트업체인 이 기업은 주52시간 근무제의 절반 수준인 ‘주30시간 노동제’를 시행하고 있다.
김 지사는 김원회 대표를 비롯한 기업 관계자 6명과 함께 간담회를 하면서 노동시간 단축이 기업과 직원에 어떤 효과를 미쳤는지를 경청했다.
김 대표는 “오전 9~10시 출근(유연출근제)해 오후 4시 전후 하루 6시간 근무하고 퇴근한다”면서 “ 주30시간 근무에도 2020년 설립이후 기업의 매출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2023년 대비 2024년 매출 25% 상승). 게다가 하루 6시간 근무중 화, 금 이틀은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데, 직원 연봉은 업계평균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업초기부터 현재의 정책(주30시간, 재택근무, 유연출근제 등)을 시행했는데, 좋은 성과가 나오고 있다. 늦게까지 남아 있는 게 회사에 대한 신뢰의 지표는 아니다”고 부연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직원들도 김 대표의 이 같은 발언에 “직원대상 조사결과, 제도의 만족도가 높았고, 결과적으로 우리회사는 퇴직율이 낮다”고 맞장구쳤다.
또 “근무시간은 줄어도 생산성은 올라가더라, 다른 회사에 있을 땐 상상할 수 없던 제도인데, 지금 회사를 다니면서 결혼도 하게 됐다.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 |
김동연 지사가 7일 판교창업존 입주기업 브레인벤쳐스 직원들과 간담회를 마친 후 기념촤영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대해 김 지사는 “과거 노동집약적으로 근로시간을 길게 해 생산성을 높이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 시대가 바뀌었다. 시대변화를 잘 읽어야 한다”면서 “생산요소라고 하면 노동, 자본, 땅을 말하는데 이제는 노동에서 양보다는 질이 중요해졌다. 노동의 질은, 애사심, 충성심, 통제가 아닌 동기부여 등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공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는 주4.5일제와 유연근무제 등을 통해 일과 삶의 양립(워라밸)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기업의 생산성 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해 8월, ‘후반기 중점과제’ 중 핵심사업으로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주 4.5일제’ 도입 제시했다.
주 4.5일제는 △격주 주4일제 △주35시간제 △매주 금요일 반일근무 가운데 하나를 노사합의로 선택해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제도다. 근무시간 단축에 필요한 임금은 공공이 지원한다.
김동연 지사는 당시 경력단절 없는 ‘0.5&0.75잡’ 프로젝트와 함께 주 4.5일제를 도의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공식화했다.
이에 발맞춰 경기도는 주 4.5일제 도입을 위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올해부터 도내 5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4.5일제 시범사업을 도입한다. 임금 축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노동자 1인당 생활임금 수준의 장려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hoonjs@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