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엔비디아 시즌2냐”
“무지하면 공공, 무료, 무조건 투자만 외쳐”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이 14일 오전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한 안철수 의원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인공지능(AI) 공약을 겨냥해 “또 하나의 K-엔비디아 시즌2냐.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셔라”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14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이재명 후보가 AI 공약을 페이스북에 적었다. 하지만 과연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같은 날 자신의 SNS에 올린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공약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게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며 “이른바 ‘한국형 챗GPT’를 전 국민이 사용하게 된다면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고, 다른 산업과의 융합으로 국가 경쟁력이 강화되며, 생산성은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어들어 워라밸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당시에 정부가 할 일은 시장 독과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일이며, 정부와 기업이 할 일은 따로 있고 공공이 직접 배달앱 만드는 일에 개입하는 건 아니라고 했는데, 돌아온 건 모독적인 언사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또 “AI로 노동시간이 줄면 워라밸이 실현된다는 주장에는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AI는 기회이자 위협이며, 변화 그 자체다. 일자리를 새로 만들기도 하지만, 일자리가 사라지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결국 AI 시대는 피나는 구조개혁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며 “AI만 일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같이 일을 하는 동반자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술만 외치고, 장밋빛 미래만 외친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특히 AI 전용 NPU(신경망처리장치)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칩 개발에 꼭 필요한 52시간 노동시간 특례는 반대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페이스북에 좋은 말만 적기보다는, 본인이 제안하고 정작 회피한 ‘AI 토론’, 저와 정식으로 한번 해보시는 건 어떠냐”며 토론을 제안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