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1억400만달러 순이익… 시장 예상 깨고 4분기 연속 흑자
S&P500 편입땐 주가 추가상승… 시간 외 거래서 6% 급등 ‘하이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2분기(4∼6월)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뉴욕증시 3대 지표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편입의 마지막 자격 요건으로 여겨진 ‘4개 분기 연속 흑자’ 요건을 채우면서, 향후 테슬라 주가 방향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올해 상반기(1∼6월)에만 4조 원이 넘는 테슬라 주식을 거래한 국내 투자자들도 주가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2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2분기 매출액 60억4000만 달러(약 7조2300억 원)와 순이익 1억400만 달러(약 1245억 원)의 실적을 거뒀다. 매출과 순이익 모두 당초 시장 전망치(53억7000만 달러, 3억5000만 달러 적자)를 크게 웃도는 성과다.
테슬라는 이로써 △시가총액 82억 달러(약 10조 원) 이상 △미국 소재 본사 등의 조건과 함께 S&P500지수 편입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 S&P 다우존스 인디시즈의 지수위원회 편입 심사만 통과하면 9월부터는 이 지수에 편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원회는 업종 대표성과 자금 확보 여부 등 양적, 질적 요인을 고려해 테슬라의 편입 여부를 검토하게 된다.
앞서 테슬라는 직전 3개 분기 동안 흑자를 기록했음에도, 2분기 실적은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미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 공장 가동이 3월 말부터 한 달간 중단되면서 실적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년 12월부터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전기차 생산에 들어가면서 손실 폭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실적에 비해 주가 상승 폭이 너무 가파르다며 여전히 고평가 논란이 나오지만 당분간은 주가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S&P500지수에 편입되면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기관 투자금 등이 자동으로 유입돼 주가가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22일(현지 시간) 전날보다 1.53% 오른 1592.33달러에 거래를 마친 테슬라의 주가는 실적이 공개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6% 가까이 급등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951억 달러(약 353조 원)로, 자동차 회사 시총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김자현 기자 zion37@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