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없는 급등종목들의 평균 주가는 ‘5021원’
개인 순매수세가 주도한 급등…테마주도 눈에 띄어
허재환 유진證 “이유없이 오른 만큼 변동성 크기 때문에 위험”
(그래픽=문승용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인의 순매수세로 인한 급등…87.5%
20일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3분기에 접어들면서 이날까지 코스닥 시장에서 주가 ‘급등’ 관련 조회공시 요구건수는 총 24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5건의 ‘5배’에 가까운 수치다. 주가 급등 관련 조회공시 요구에 대한 답변으로는 ‘중요정보없음’이 전체의 87.5%인 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확정은 3건(12.5%)으로 파악됐다.
묻지마식 주가 급등의 주된 요인은 개인의 매수세 때문이란 분석이다. 실제 한국거래소가 현저한 시황 변동 관련 조회공시를 요구한 당일 수급을 보면 21개(87.5%) 종목에 대해 개인투자자들이 순매수했다. 특히 이들 종목의 조회공시 요구 당일 평균 주가는 5021.5원에 불과해 저가주 위주로 이유 없는 급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코스피지수가 1400선까지 미끄러지자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증시로 유입된 가운데 상당수는 실적이 뒷받침되는 대형주나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전망이 밝은 성장주 위주로 투자했지만 일부는 여전히 묻지마 투자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유 없는 급등 종목을 보면 일명 ‘테마주’라고 불리는 종목들도 눈에 띄었다.
형지I&C는 계열사 형지엘리트가 이재명 경기도지사 테마주로 분류되면서 당시 대법원의 무죄 취지 파기환송 소식에 급등했다. 한국거래소가 조회공시를 요구하자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회사는 과거 및 현재 사업적 관련성이 전혀 없다”고 지난 20일 답변공시를 하기도 했다.
배합사료 기업인 대주산업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서천군 장항읍에 공장을 보유해 세종시 테마주로 분류됐다가 더불어민주당 행정수도완성추진단(행정수도TF)이 행보에 나선다는 소식에 급등했다. 이에 거래소가 조회공시를 요구하자 중요정보가 없다는 답변을 지난 20일 공시했다.
이같은 테마주 중심의 이유 없는 급등 종목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온다. 기업 실적 등 펀더멘털과의 괴리가 커질수록 거품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해당 종목들이 저가이기 때문에 개인이 상대적으로 주식을 사는 데 있어 가격부담이 없어 투자하기 용이한 측면이 있다”면서 “이유없이 오른 종목인 만큼 이유 없이 내릴 수 있는, 변동성이 취약한 종목들이기 때문에 시장이 흔들리면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특히 코스닥의 경우 유가증권시장보다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더 흔들릴 수 있는 요인이 있다”고 덧붙였다.
주가급등 조회공시요구 코스닥 종목 정리.(자료=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