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 상위 10개 종목 올해 수익률
로빈후더 21.44% vs 동학개미 53.1%
최근엔 모두 '모멘템 거래'…"주의 필요"
다만, 증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최근 들어서는 동학개미와 로빈후더 모두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식의 모멘텀 투자를 하고 있어, 경계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로빈후더, 테슬라 빼면 18.81%↓…동학개미, 53.1%↑
미국 로빈후더는 포드에 이어 제너럴 일렉트릭,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메리칸 항공, 디즈니, 델타 항공, 테슬라, 카니발, 고프로 순으로 많이 투자했다. 로빈후드 가입자들이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종목 10개엔 애플 등 성장주도 있지만, 구경제(Old Economy) 업종인 경기민감주 비중도 높다.
로빈후더와 동학개미가 선호한 종목 10개의 연초 대비 평균 수익률을 보면 동학개미 성적이 더 우수했다. 로빈후더가 많이 보유한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21.44%다. 393.7% 오른 테슬라를 제외한 평균은 -18.81%로, 전체적인 성적이 좋다고 볼 수 없다. 동학 개미 순매수 10개 종목의 수익률 평균은 53.1%로 로빈후더의 두배 이상의 성과를 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아웃라이어인 테슬라를 제외하곤 로빈후더의 수익은 낙제점인데, 실제 미국의 개인들은 옵션거래에도 몰두하는 등 ‘로또 플레이어’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며 “대형 성장주 위주로 안정적인 투자를 해온 국내 동학 개미와는 차이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최근엔 둘 다 ‘오르는 종목’ 매수…모멘텀 장세 ‘끝물’”
동학개미도 전염병 확산으로 지수가 폭락했던 3월 즈음에는 펀더멘털이 우량한 대형주에 집중했지만, 최근 들어선 밸류에이션 부담에도 ‘오르는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실제 코스피 연저점이 포함된 3~4월 구간 개인이 가장 많이 사들이 종목은 삼성전자와 현대차인 반면, 2000선을 돌파한 뒤인 6~7월엔 SK와 SK바이오팜을 순매수 종목 1, 2위에 올렸다. 기업의 본질가치와는 무관한 관성에 따르는 투자로 현재는 ‘모멘텀 장세’란 평가다. 로빈후더가 FAANG으로 자금을 옮기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4월 개인투자자는 성장주가 아닌 확실한 우량주를 사서 수익을 거두었기 때문에 분명 스마트머니가 맞았다”며 “반면 6월 코스피가 이미 많이 회복한 이후 ‘나도 주식 좀 해볼까’하고 들어온 개인들은 이미 너무 비싸진 성장주를 사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유튜브 등으로 정보를 많이 알고는 있지만, 투자 기간이 적은 탓에 종목 분석 능력이 있다기 보다는 추종 매매를 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 연구원은 “미국 개인투자자들도 최근에서야 애플 등 성장주에 들어가고 있는데, 이 역시 모멘텀 장세의 일환이지 스마트 머니라고 볼 수는 없다”며 “한국이든 미국이든 마찬가지로 오르는 종목을 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와 같은 모멘텀 장세에는 매도 압력이 적은 상황에서 사는 사람이 생기기 때문에 파는 사람 대비 매수가 많아 주가가 오르긴 한다”며 “이러다가 펀더멘털을 추구하는 이들이 매도를 시작하면 모멘텀 플레이를 하는 투자자들도 순식간에 팔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데, 현재는 모멘텀 장세가 거의 끝나가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