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 6개월 연장·개인투자자 참여 확대키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융당국이 현재 고액자산가들에게 유리한 기업공개(IPO) 공모주 청약 방식을 소액 일반투자자들도 주식을 좀 더 배정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 다음달 15일까지로 예정된 공매도 금지 기간도 6개월 더 연장하고 이후 해제에 앞서 개인투자자들의 참여를 확대하기로 했다. 최근 ‘동학개미’ 등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가운데 각종 제도를 개선해 시중 유동성을 부동산보다 증시로 돌리려는 방안 중 하나로 풀이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업계 간담회에서 “청약증거금을 많이 내는 사람이 많은 물량을 배정받는 현행 개인투자자 간 배정 방식은 고액자산가일수록 유리하게 작용해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최근 풍부한 유동성 장세 속에 공모 대어(大魚) 들이 속속 상장되고 있지만 많은 상장기업과 청약을 주관하는 증권사들이 청약증거금에 비례해 배정하는 방식을 따라 소액투자자들이 배제되고 있다는 불만이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해 상장한 36개사 가운데 청약 경쟁률이 1,000대1을 넘은 기업은 11곳으로 30%에 육박했다.
특히 ‘따상상상(공모가의 2배에 시초가가 형성된 뒤 사흘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는 것)’을 기록한 SK바이오팜 등 공모주 투자 대박 사례가 이어지며 소액 투자자 소외감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 7월2일 상장한 공모가가 4만9,000원이었던 SK바이오팜은 첫날 9만8,000원에 시초가가 형성됐고, 이후 3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며 상장 사흘 만에 종가가 공모가의 3배를 넘어섰다.
은 위원장도 이 같은 지적을 의식한 듯 “기업공개 과정에서 각각의 개인투자자들은 많은 신주를 배정받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
미달땐 증권사가 떠안아···청약증거금제 손질 힘들듯
금융당국이 향후 증권사 의견을 수렴해 개인투자자 배정 확대 제도 개선안도 꺼내 들지 관심이다. 황세운 상명대 DnA랩 객원연구위원은 “개인 투자자 간 배정 방식 변경한다면 일정금액까지 우선 배정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지만, 실제 배정 물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개인배정 물량 자체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증권사 사장단에 신용융자 인하와 한국판 뉴딜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도 요청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간담회 직후 “금융당국과 증권사들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요지부동인 증권사 신용융자 금리산정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음달 중 금융당국과 업계가 함께 TF를 구성하고 개선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하기로 했으며, 한국판 뉴딜 사업에 증권업계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도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양사록·김민석기자 sarok@sedaily.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