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 몫인 공모주 중 20%
수천만원에 겨우 한 자릿수 배정
금융위 “고액자산가 유리…개선”
복수계좌 청약 금지방안도 살펴
개인 소액투자자가 더 많은 기업공개(IPO) 공모주 투자 기회를 받을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제도 개선에 나선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협회는 기업공개 절차 등을 규율하는 업계 자율규제인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 검토에 나섰다.
국내 증시 상장을 앞둔 기업들은 기업공개 절차 중 공모주 대부분은 기관투자가에게 배정하지만 약 20%는 개인 일반 투자자들에게 배정하고 있다.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공모주 수요를 예측해 공모가를 정한 뒤, 이를 기준 삼아 일반 투자자들에게 공모주 청약을 받는다. 기업들은 각자 배정 방식을 정하는데 보통 청약증거금에 비례해 배정하는 경우가 많다.
공모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져 하반기 카카오게임즈, 빅히트엔터테인먼트 공모주 청약 경쟁률은 SK바이오팜 못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제도대로라면 수천만원의 증거금을 내야 겨우 한 자릿수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이에 일반 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전체 공모주 20% 중 절반 정도인 10%는 소액청약자를 우대하거나 추첨제로 배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한 투자자가 복수의 증권사에 청약을 넣는 복수계좌 청약 금지 방안도 검토 대상에 올랐다. 2018년 자본시장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과 싱가포르는 복수계좌 청약 금지를 전제로 소액청약자 우대 방식 및 추첨 방식을 공모주 배정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윤승민 기자 mean@kyunghyang.com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