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활황에 수탁수수료 늘고 저금리에 채권평가·처분 이익 늘어
'동학개미' 열풍이 불면서 수탁수수료가 전 분기보다 3천588억원 늘고 금리 하락에 따라 보유채권의 평가 및 처분 손익이 6천106억원 증가한 것에 영향을 받았다.
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분기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56개 증권사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8천173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48.5% 늘었다.
작년 4분기 1조577억원이었던 순이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1분기에 5천215억원으로 반 토막 났다가 곧바로 회복 수준을 넘는 급반등을 보였다.
2분기 증권회사 주요 항목별 손익 |
기업금융(IB) 부문 수수료(8천779억원)는 2.9% 줄었지만, 주식거래대금이 크게 늘면서 수탁수수료(1조7천386억원)가 3천588억원(26%) 증가했다. 수수료수익에서 차지하는 수탁수수료 비중이 1분기보다 7.3% 오른 53.7%로 절반을 넘는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 89.5%, 110% 늘었다.
자기매매손익은 전 분기보다 7천12억원(65%) 줄어 3천77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 기준 8조9천억원 규모인 매도증권 주식의 평가손실이 커짐에 따라 주식 관련 손익이 1분기보다 7천508억원 줄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채권 관련 이익(2조2천523억원)은 금리 하락 추세에 따른 평가이익 증가로 1분기보다 37.2% 늘면서 자기매매손익 감소를 일정 부분 방어했다.
기타자산손익은 주가 상승의 영향으로 펀드 관련 이익이 전 분기 대비 3조2천665억원(176.3%) 늘면서 1분기보다 2조9천384억원 많은 2조557억원으로 집계됐다.
판매관리비는 14.7% 늘어 2조4천939억원이었다.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를 통한 자금 조달 증가 등으로 부채가 12조2천억원 늘었고, 자기자본은 64조4천억원으로 2조8천억원 증가했다.
56개 증권사의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3.71%로 작년 동기(4.96%)보다 소폭 떨어졌다.
평균 순자본비율은 1분기 말보다 60.9%포인트 증가한 607.6%이고 이 가운데 종합금융투자사업자 8곳의 순자본비율은 1,313%로 집계됐다.
한편 올해 2분기 선물회사 4곳의 당기순이익은 전 분기보다 14억원(12.1%) 줄어든 102억원이었다.
ROE는 2.2%로 작년 동기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금감원은 "증권사들이 2분기에 양호한 수익을 시현했다"면서도 "코로나19 영향 등 국내외 불확실성이 그대로 있기 때문에 국내외 주식시장 등 잠재리스크 요인이 수익과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금감원은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비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무보증 등 부동산 금융 현황도 상시 관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momen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