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성 자산 1,040억 달해
활로 찾아 투자 기회 모색
펫사업 등 다각화에도 주력
물밑 M&A 움직임도 지속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곰표 밀가루로 유명한 대한제분(001130)이 막대한 현금을 등에 업고 사모펀드(PEF), 스타트업, 공모주까지 활발하게 투자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주력 사업인 제분과 사료에서 활로를 찾기 어렵자 다방면에서 수익 기회를 노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탄탄한 본업과 연계한 다각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는 대한제분은 인수·합병(M&A)을 통해 반려동물 시장에서 선두 사업자로 발돋움 하기도 했다.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한제분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신종자본증권과 공모주증권·상환전환우선주(RCPS)·회사채·상장지수펀드(ETF)와 같은 금융상품을 총 488억원어치 보유하고 있다. 가지고 있는 상장주식과 비상장주식의 가치도 376억에 달한다.
이에 대한제분은 10년 전부터 사업 다각화에도 많은 공을 기울이고 있다. 2010년 시작한 동물병원 프랜차이즈인 이리온에는 3년 전 VIG파트너스가 투자를 추진하기도 했다. 대한제분은 2018년 계열사인 대한사료의 펫사료 부문을 넘겨 ‘우리와’라는 펫사료 사업을 전문적으로 시작했고 지난해 초에는 또 다른 펫사료 회사인 대산앤컴퍼니를 인수해 시장 점유율 1위에 다가섰다. 펫사업 성장성을 눈 여겨 본 한 PE가 최근 우리와의 인수를 물밑에서 타진하기도 했다. 지난 상반기 우리와의 매출액은 529억원이다. 당기 순익은 전체(210억원)의 20%에 달하는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했다. 대한제분은 호텔신라가 100% 보유했던 아티제 베이커리 사업부(보나비)를 2012년 인수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대한제분은 이색적인 마케팅과 상품을 선보이면서 소비자와의 접점도 크게 늘리고 있다. 패딩 점퍼부터 세제, 파우더, 팝콘에까지 곰표 브랜드를 접목해 대한제분과는 지금껏 거리가 멀었던 1020 세대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편의점 CU와 함께 지난 5월 선보인 곰표 밀맥주는 단 3일 만에 초도 생산 물량 10만 개가 완판되기도 했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한제분은 투자와 신사업 전담 인력을 두고 다양한 투자와 사업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특히 탄탄한 주력 사업과 연계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에 관심이 많다”고 설명했다. /김기정기자 aboutkj@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