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저PBR·지주사 등 순매수
개인, 네이버·JYP 등 수익률 ↓
그래픽=이진영 기자 jy1010@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1분기 국내 증시에서 수익률이 양호한 종목을 가장 많이 사들인 투자자는 외국인투자자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는 주가가 내림세를 보인 종목을 대거 순매수하며 수익성이 악화했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해 1~3월 유가증권시장에서 15조7700억 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이는 거래소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8년 이후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이 중 외국인 최대 순매수 종목은 삼성전자로, 액수는 5조5024억 원에 달했다.
이어 현대차(2조1408억 원)와 SK하이닉스(1조7555억 원), 삼성물산(1조933억 원), 삼성전자우(1조544억 원)가 상위 5위권을 차지했다. KB금융(6649억 원)과 삼성바이오로직스(5212억 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4056억 원), 기아(3983억 원), 삼성생명(3623억 원) 등도 그 뒤를 이었다.
저(低)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도 밸류업 기대감을 받으며 강세를 나타냈다. 현대차는 연초 이후 14.5% 올랐다. 29일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57배다. 금융주도 대표적 저PBR 부문으로 꼽히며 순매수 규모를 불렸다. KB금융을 비롯해 우리금융지주 3518억 원, 하나금융지주 2726억 원 등이 유입됐다. 주가도 강세를 나타내며 KRX 300 금융 수익률은 16.92%를 기록했다.
신한지주를 비롯한 하나금융지주(2279억 원), 메리츠금융지주(1279억 원) 등 금융주 비중도 늘렸다. 또 다른 밸류업 수혜 종목으로 꼽히는 LG(1813억 원), SK(1218억 원) 등 지주사 주식도 매입했다. 신한지주는 이 기간 14.57% 올랐고 하나금융지주(32.95%), 메리츠금융지주(38.24%)도 급등세였다. LG와 SK는 1.86%, 0.34%씩 상승했다.
개인은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재생에너지, 조선, 유통 등 다양한 업계의 종목을 고루 샀다. 최대 규모 순매수 종목은 NAVER로, 올해 들어 1조4535억 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코스닥 새내기 종목인 에이피알도 순매수액 3307억 원으로 순매수 2위에 올랐다.
엔캠(2552억 원)과 JYP Ent.(2244억 원), 한화솔루션(2062억 원), POSCO홀딩스(1681억 원)는 그 뒤를 이었다. HPSP(1582억 원), LG화학(1463억 원), SK이노베이션(1367억 원), 엔젤로보틱스(1367억 원)도 개인의 관심을 받았다. 현대미포조선(1173억 원)과 카카오페이(899억 원), 호텔신라(846억 원), 현대오토에버(757억 원) 등도 순매수 상위권에 올랐다.
[이투데이/윤혜원 기자 (hwyo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