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나날이 인기가 치솟는 해외증권 투자가 환율 상승을 더 빠르게 만들 위험성이 있어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8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자본시장연구원의 이승호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외환 통계 등 실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외주식·채권 투자가 증가하면 원화 환율 상승에 뚜렷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처럼 강조했다.
자본시장연구원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위원은 해외증권 투자가 2010년 이후 계속 가파르게 우상향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시장이 저금리·저성장 기조에 들어서며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등 고수익 투자처로 몰리기 때문이다.
해외증권 투자잔액은 2015년 2355억달러(한화 324조4742억원)이었다가 작년 8576억달러(1181조4720억원)로 8년 사이 3.6배로 불어났다.
투자 주체별로는 국민연금 등 정부가 작년 투자 잔액의 43%를 차지해 가장 덩치가 컸고 특히 최근 들어서는 개인투자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이 위원은 전했다.
이 위원은 외국주식·채권의 투자자금 유출입 현황과 환율 등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여러 변수의 관계성을 추정하는 통계 분석)을 한 결과 해외증권 투자가 실제 원화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동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해외증권 투자는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정책당국은 외환 수요가 증가해 원화 환율의 상승 압력이 나타날 개연성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최근 고환율 상황에서 해외투자가 환율상승을 가속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환율안정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자본시장연구원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당국은 우리나라 경제주체의 해외증권 투자가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투자자 외환 매입이나 환전·해외송금과 관련한 시장 인프라를 점검하고 제도적 개선 사항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해외증권 투자는 환율 안정 기능도 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리고 통화정책 완화로 전환하면 원화 환율이 갑자기 떨어질 수 있는데, 해외증권 투자는 이런 '하방 압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 위원은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gil@heraldcorp.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