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 회수 움직임 뚜렷해
지난해 220억불 들어왔지만 올해 10분의 1토막
"개인 투자자 몰리며 밸류에이션 너무 높아져"
美금리 인하 사이클 시작되면 소외될 가능성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장기 상승세를 이어온 인도 증시에 자국 개미 투자자들까지 몰리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거품을 경고하며 자금을 회수 중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FT는 블룸버그와 인도 증권거래위원회 데이터를 인용해 외국 기관 투자들이 8월 인도 증시에서 순매도로 돌아섰으며 10억 달러 이상의 자금 순유출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올 들어 인도 증시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은 26억 달러로 지난해 기록한 220억 달러의 10분의 1 수준이다.
FT는 외국인의 인도 증시 철수가 수년 간 인도 주식시장, 특히 우량주 중심의 니프티50 지수의 강세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고 짚었다. 앞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이 더딘 중국 이외의 신흥국에서 수익을 추구한 결과 인도로 몰려간 바 있다. 특히 14억 명이라는 거대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한 빠른 경제 성장은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에서도 인도를 보호하면서 신흥국 투자자들의 자금을 더욱 거세게 끌어들였다고 FT는 분석했다. 실제 MSCI 인도 지수는 지난 5년간 52% 상승해 MSCI 신흥국 지수의 상승률(11%)을 크게 앞질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광풍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현지 업계에 따르면 인도인들은 저축예금의 자금을 펀드 등 주식 시장으로 대거 옮기고 있다. 맥쿼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700억 달러(93조원)의 소매 자금이 인도 주식으로 유입됐다. 현지 자산운용사인 애식스펀드의 최고 투자책임자인 아쉬시 굽타는 “멀티플은 높아져 있고, 전통적 의미에서 가치 투자로 수익을 얻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뭄바이의 한 외국계 은행 임원 역시 “밸류에이션이 약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많은 인도인들이 위험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장 조정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가 많기에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매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미 기자 km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