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사적지 공식 등재…"美 역사 중요한 장소·원형 잘 보존돼"
자주외교 노력 깃든 공간, 가치 인정…한국 정부 건물로는 처음
주미대한제국공사관 |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대한제국이 펼친 자주외교 노력이 깃든 공간인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워싱턴DC에 있는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의 국가사적지(NRHP·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공식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공식 지정 명칭은 '옛 대한제국공사관'(Old Korean Legation)이다.
국가사적지는 한국의 국가유산(옛 '문화재')과 유사한 제도로, 보존할 역사적 가치가 우수한 건물, 구조물, 장소 등을 법으로 지정한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건물 복원 전후 모습 |
한국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의 역사가 중심이 되는 장소가 미국 국가사적지가 된 건 처음이다.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측은 공사관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유산청은 "워싱턴 DC에 설치된 한미 외교의 현장으로 미국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소라는 점이 건물의 핵심 가치로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건물의 변화 |
또 "건물의 내·외부 모두 원형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한국 정부의 주도로 진행된 복원 및 새 단장 공사로 역사적 공간이 훌륭히 재현한 점도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공유유산은 2개 이상의 국가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유산으로, 해외에 있는 한국 관련 유산을 적극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고자 도입한 개념이다.
국가유산청과 재단은 올해 초부터 매월 두 번째 수요일과 토요일에 워싱턴DC와 메릴랜드주,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동포를 대상으로 순환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1층 식당 입구 |
최근에는 민간 기업의 지원을 받아 공사관의 옛 모습을 담은 안내판도 설치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이어지던 시기 외교 무대의 중심이었다.
1877년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세스 펠프스(Seth L. Phelps)의 저택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백악관에서 약 1.5㎞ 거리에 있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 1층 객당 복원 후 |
공사관은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양 국가에 설치한 외교공관으로 특히 가치가 크다.
이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은 1905년까지 약 16년간 이곳에서 외교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일제는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단돈 5달러에 매입한 뒤 건물을 팔아넘겼고 군인 휴양시설, 노동조합 사무실 등으로 쓰이다가 2012년 우리 정부 품으로 돌아왔다.
정부는 보수·복원공사를 거쳐 2018년 5월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해 운영 중이다.
지난 5월 설치된 안내판 |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