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최근 오픈AI가 복잡하고 고난도의 추론 문제까지 해결하는 AI 모델 'o1(오원)'을 선보이며 글로벌 거대언어모델(LLM) 경쟁은 새로운 경쟁의 불이 지펴졌다. 이들 회사는 '더 빠르고 저렴하게 정확한 답을 내놓는 AI'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AI 활용 전문가들은 모델 성능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AI에게 명령하는 법'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AI의 분석, 추론 능력이 아무리 향상되어도 그 전제는 '사용자 지시에 충실할 것'에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프롬프트 엔지니어(Prompt Engineer)로 불리는 AI 명령어 전문가, 앤드류 응(Andrew Ng) 스탠퍼드대 교수 같은 세계적 석학도 공통적으로 조언하는 'AI에게 효과적으로 명령하는 법'이다.
■ 구체적으로 지시하기
가령 '추석에 대해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AI는 제한된 답변 분량 안에 추석의 유래부터 음식, 놀이문화 등 사용자가 찾을 확률이 높은 정보를 추려 답한다. 그보다 '추석의 유래', '추석 문화의 특징' 등 지시사항을 구체화할수록 한번의 답변에서 보다 질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맥락'을 함께 제공하면 더욱 좋다. 가령 '추석에 대한 노래 가사를 만들어줘'보단 '추석을 상징하는 키워드는 보름달과 토끼, 송편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추석에 대한 노래를 만들어줘'라고 맥락을 제공하면 가급적 그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답이 나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체화의 연장선상으로 '예시'는 내가 AI에게 얻고 싶은 답변의 형태를 미리 알려주는 것이다. 앞서 '추석의 유래'를 질문했고 단순 문단식 답변이 아니라 리스트 형태로 답변을 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해야 한다. 간단한 예시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훨씬 정제된 답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역할 부여하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구체적 지시, 예시 추가, 역할 부여는 단순하지만 대부분의 AI 모델에서 즉각적인 답변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초 팁이다. 3가지를 모두 섞어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정답이 있는 건 아니다. 이에 관해 AI 검색 전문가는 "명령어에 정답은 없다"면서 "예시 활용과 같은 직관적인 방법 외에도 지시사항을 구체화하는 모든 방법을 제약 없이 시도해볼 수 있는 것이 AI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때문에 지난해부터 AI 도입 기업에선 '프롬프트 엔지니어(Prompt Engineer)'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양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명령어를 단순 공식처럼 활용하는 능력을 넘어, 기업의 데이터와 시스템 현황을 바탕으로 최적의 답을 도출하거나 AI 모델이 미비한 점을 보완하는 노하우는 각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실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된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