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태어나 병원에서 떠나는 게 현대 인간의 일생이지요. 그런데 그 방법 뿐일까요? 임박한 죽음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오늘의 '추천! 더중플'은 암 전문가가 본 삶과 죽음의 의미를 다룬 '김범석의 살아내다(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78)'입니다.
'The JoongAng Plus(더중앙플러스)'는 지혜롭고 지적인 독자들을 위해 중앙일보의 역량을 모아 마련한 지식 구독 서비스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령의 환자, 병원에서 한 달 버티기 힘들다
일러스트 미드저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팔십 중반의 어르신들이 병원에 입원하면, 입원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나빠지는 일이 허다하다. 병원에 입원하면 우선 공간이 제한된다. 집에서는 그래도 살살 집 밖에도 나가보고, 거실도 왔다 갔다 하고 소파에도 앉고, 화장실도 다니고, 식사하러 부엌까지 오는 등 소소한 활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병원에 입원하면 아무리 1인실이라도 공간 여유가 없다. 특히 다인실이면 공간이 침대로 국한되니, 침대에 누워 있는 일밖에 딱히 할 일이 없게 된다. 노인분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잘 못한다. 병원 내에서 복도를 걸으며 산책하는 일도 잘 안 하려 한다.
온몸의 근육이 빠지면 삼키는 근육도 기능이 떨어져 식사할 때 사레가 걸린다. 콧줄을 달아 영양을 공급하기 시작한다. 콧줄이 목을 자극하니 자다가 무의식적으로 잡아 빼는데, 그러면 다시 콧줄을 못 빼도록 손발을 묶어 놓는다. 졸지에 소변줄, 콧줄, 기저귀를 찬 채 사지를 결박당하면 정신이 온전해질 리 없다. 그렇게 드러눕기 시작하면 한 두 달을 못 버티고 돌아가신다. 특히 팔순 중반의 노인분들은 아무리 잘 케어를 해도 그렇다.
당연히 의료진은 최선을 다했고, 가족들도 최선을 다했다. 그런데 이게 과연 의료이고 효도일까.
▶결국 소변줄 꽂고 기저귀 찬다…어르신 입원 한 달 뒤 닥칠 일
━
임종을 지키는 자식은 따로 있다
환자가 곧 숨을 거둘 것 같았다. 환자 가까이 살던 막내딸을 비롯해 각지에 흩어져 살던 자녀들은 모두 일상을 팽개치고 한달음에 달려왔다. 엄마… 엄마… 자식들은 울며 엄마 곁을 지켰다. 그토록 보고 싶던 자식들이 한데 모이자 할머니는 기운이 났는지 오히려 좋아지기 시작했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시간은 계속 흘렀다. 자식들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그들은 ‘다시 올게, 네가 수고 좀 해줘라’, 하며 막냇동생에게 뒤를 부탁하고 각자의 집으로 돌아갔다. 평소에 늘 엄마와 함께 있던, 막내딸만 남게 되자 할머니는 갑자기 돌아가셨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0085
━
때가 되면 바통을 넘겨야 한다
▶“항암치료 좀 쉬면 안될까요” 죽음 앞둔 72세 마지막 할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8224
■ 추천! 더중플 - 김범석의 살아내다
오늘의 더중플 추천 칼럼 모음입니다.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결국 소변줄 꽂고 기저귀 찬다…어르신 입원 한 달 뒤 닥칠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8228
"엄마 언제 돌아가세요?"…의사 민망해진 그날 닥친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0085
“항암치료 좀 쉬면 안될까요” 죽음 앞둔 72세 마지막 할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8224
“아버지 이런 사람이었어요?” 암 진단 뒤 딸에게 온 ‘현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9934
구강암 30세 그녀 폰 보자…‘짜장면 먹방’ 의문 풀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6722
정리=이경희 기자 dungle@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