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24일 여당 지도부 용산 초청해 만찬
의료개혁 접점 관건…여야의정 대화 주제 당정 이견
대통령·여당 지지율 동반 하락 상황서 만남 자체 주목
與내부 “尹-韓, 따로 독대 시간 갖는 게 중요” 목소리도
한 대표, 성남공항서 체코 순방길 尹대통령 부부 배웅
체코를 공식 방문하는 윤석열(오른쪽) 대통령이 1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 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성남=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안대용·김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4일 한동훈 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찬 회동을 갖는다. 윤 대통령이 22일 체코에서 귀국하자마자 한동훈 지도부와 만나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윤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이 함께 하향세를 그리는 상황에서, 만찬 회동을 통해 반등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혜전 대통령실 대변인은 19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이 오는 24일 국민의힘 지도부를 용산으로 초청해 만찬 회동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이번 회동은 대통령실과 당 지도부가 한자리에 모여 추석 민심을 점검하고, 의료 개혁을 비롯한 개혁 과제, 민생 현안 등을 논의하는 폭넓은 소통의 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만찬 회동에는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해 최고위원들과 주요 당직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에서는 정진석 비서실장과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안보실장 및 수석 비서관들이 자리한다.
예정대로 만찬이 진행된다면 한 대표가 전당대회를 통해 당대표에 선출된 직후였던 7월 24일 이후 두 달 만에 윤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이 열린다. 8월 초 구성이 완료된 한동훈 지도부와 윤 대통령의 첫 공식 대면이기도 하다. 추석 연휴 기간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임기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이뤄지는 만큼 돌파구를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당정 화합과 국정운영 원활화가 목적 아니겠나”라고 했다.
때문에 이번 회동에선 특히 ‘의료 개혁’ 관련 논의에서 얼마나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인지가 관건으로 꼽힌다.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에 사활을 걸고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한 대표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부분을 포함해 의제 제한 없이 모든 사안을 이야기할 수 있다며 의료계를 향해 우선 협의체에 참여해 논의를 시작하자는 입장이다. 친한(친한동훈)계에선 무엇보다 정부가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이 논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것에 부정적이다.
여당 내에선 구체적인 대화 주제보다도 현 시점에서 두 사람의 만남 자체가 중요하다고 본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에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따로 독대 시간을 갖는 게 중요하다”며 “수많은 참석자 사람 앞에서 참석자들이 대통령에게 ‘이것을 해달라’고 할 수 있겠나. 예의와 자존심 문제가 있어서 그러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당정 갈등 양상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은 함께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 13일 공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9월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9월 2주차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20%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조사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수치이고, 취임 후 최저치다.
국민의힘 지지율도 현 정부 출범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에서 국민의힘은 28%, 더불어민주당은 33%, 조국혁신당은 8%, 무당층은 26%로 조사됐는데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 대비 3%p 내렸다. (응답률 10.4%,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p.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dandy@heraldcorp.com
soho090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