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천사지 유적전시관서 기념식…시민들 탄성 축하 물결
국가유산청장 "지광국사탑비도 복원한 후 탑 옆에 세울 것"
113년 만에 복원된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원주=연합뉴스) 강태현 기자 = 일제강점기에 무단 반출되고 6.25전쟁으로 1만2천조각으로 분리되는 등 역사적 고난과 아픔을 가진 지광국사탑이 복원을 마치고 113년 만에 고향 원주에 안착했다.
원주시와 국립문화유산원은 12일 법천사지 유적전시관 앞 특설무대에서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석탑인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복원 기념식을 열고 일반에 공개했다.
이날 기념식은 정광열 도 경제부지사와 원강수 원주시장,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임종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장, 퇴우 정념 월정사 주지 스님 등 기관단체장과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지광국사 해린 스님(984∼1070년)과 지광국사탑의 반출부터 환수에 이르기까지의 스토리를 담은 창작 음악극 '시절인연'을 시작으로 경과보고, 축사, 붓글씨 퍼포먼스, 커팅·제막식 등으로 진행됐다.
원강수 원주시장은 "문화재는 원래 있던 곳에 있는 게 가장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조상들이 물려준 문화재를 발굴·계승하는데 더욱 힘쓸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113년 만에 복원돼 고향 원주 안착한 국보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지광국사탑은 고려시대에 승려에게 내리는 최고 법계인 '국사'(國師)를 받은 지광국사 해린 스님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이다.
이 탑은 일제강점기였던 1911년 일본인이 무단으로 해체해 경성(서울)으로 옮겼고, 이듬해 일본 오사카(大阪)로 반출됐다가 다시 돌아왔다.
1915년에는 조선물산공진회 미술관이 있었던 경복궁 뜰로, 1923년에는 경회루 동쪽으로 자리를 옮기는 등 여러 차례 시련을 겪기도 했다.
특히 6·25전쟁 때는 폭격을 맞아 약 1만2천개의 파편으로 조각나는 등 큰 피해를 봤다.
원래 있던 법천사지를 떠나 약 1천975㎞에 달하는 유랑 생활을 마친 셈이다.
연구원은 지난해 말 복원 위치를 확정한 뒤, 유적전시관 안에 탑의 하중을 지탱하고 진도 7 규모의 지진 충격을 버틸 수 있는 면진대를 설치해 탑을 완전히 올렸다.
113년 만에 복원된 국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taetae@yna.co.kr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