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털 약화로 박스권 지속 전망도
FOMC 등 미·일 통화 정책회의 촉각
우원식(왼쪽) 국회의장이 지난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됐음을 선포하고 있다.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를 비추는 조명이 어둠속 환하게 빛나고 있다. 이상섭·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첫 거래일인 16일 국내 증시가 반등 흐름을 이어갈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13일 코스피는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가운데 나흘째 올라 2490대를 회복했다. 코스피는 전장보다 12.34포인트(0.50%) 오른 2,494.46에 장을 마쳤다.
기관이 13거래일 연속 순매수해 역대 네 번째로 긴 순매수세를 기록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거래일, 4거래일 연속 ‘팔자’를 이어갔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상황에서 이번 주부터는 계엄령 이후 나타났던 외국인 수급 및 주가 측면의 부정적 센티먼트에 반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다만 아직 헌법재판소 심리와 사법당국의 수사 등이 남아 있어 정치적 불확실성이 잔존한 데다 국내 증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악화해 증시 반등 폭은 제한될 여지가 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됐지만 완전한 해결이 아닌 첫걸음이라는 점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헌법재판소 인용 여부 등을 고려 시 상황이 유동적이다”며 “또한 한국 경제지표가 둔화를 가리키고 있어 정책과 거시경제 등의 명확성이 나올 때까지 주식시장은 상단이 막혀있는 박스권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대외적으로는 이번주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회의를 앞둔 경계감이 유입될 수 있어 주시해야 한다.
오는 19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국의 견조한 소비 및 고용 지표를 감안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기준금리 전망치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인 데다,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깜짝 금리 인상과 같은 변동성이 발생할 경우 국내 증시에 악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주 말 뉴욕 증시에서는 브로드컴 호실적에 기술주 전반의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가 3.4% 급등했다.
투자360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