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를 이용해 제작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국내 공모펀드 대비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성장률이 전세계 평균치를 훨씬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김재칠, 권민경 자본시장연구원이 지난 8일 발간한 ‘ETF시장의 상품구조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말 기준 국내 ETF 시장의 규모는 공모펀드시장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대만(61.1%)을 제외하고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전세계 평균(16.5%)와 비교해도 2배 가량 높다. 한국 다음으로는 아일랜드(28.8%), 일본(25.8%), 미국(22.7%)가 뒤를 이었다.
순자산총액(AUM) 성장 추세를 비교해도 국내 ETF 시장의 성장 속도는 압도적이다. 2010년 순자산총액을 지수 100으로 두고 순자산총액을 비교해 본 결과 2021년부터 국내 ETF AUM 규모는 1000을 돌파했다. 20년만에 10배 이상 증가했다는 의미다. 2023년에는 2000에 달하며 20배 뛰었다. 반면, 지난해 전세계 ETF 성장 규모는 2010년 대비 약 10배 성장했다.
판매보수 등 여러 비용도 낮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액티브 펀드의 부진한 운용 성과에 대한 경험적 결과가 누적된 점도 ETF 시장 성장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국내에서는 운용사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다양한 테마형 ETF와 인기 상품들이 지속해서 출시되고 운용 수수료 경쟁을 펼치면서 인기가 더욱 커졌다는 설명이다.
단, 수수료 경쟁으로 인한 운용사 수익성 저하는 주시해야 할 문제로 언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전체의 자산가중평균 운용보수율은 2011년 31.6bp를 기점으로 하락해 지난해 6월말까지는 16.3bp까지 하락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