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테슬라, 2위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
올해 주피터, 모델 2 등 효과 판매량 증가 전망
트럼프 물가 상승 등 부정적 불구 규제 완화 기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국내 투자자들의 테슬라 매수 행렬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판매량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트럼프 시대에 접어들며 자율주행 관련 규제 완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등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투자자들은 지난 16일 기준 올해 테슬라를 3억5847만달러 순매수했다. 해외 투자 종목 가운데 1위다. 2위도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인 ‘DIREXION DAILY TSLA BULL 2X SHARE ETF(TSLL)으로 2억5786만달러를 사들였다.
테슬라는 올 들어 10거래일 동안 9.11% 올랐다. 지난해 62.52% 오른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국내투자자들이 11억달러 가까이 사들인 최대 순매수 종목으로 장기 투자했을 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현지시간) 취임하면서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일론 머스크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란 기대감도 반영됐다. 테슬라가 자율주행 로보(무인)택시 출시 등에 규제 완화 혜택을 볼 것이란 기대다.
테슬라를 바라보는 전망은 밝다.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 아담 조나스는 13일(현지시간) 목표주가를 800달러로 높였다. 지난해 12월 기록한 최고가 432.6달러보다 84.93%오른 가격이다. 조나스는 테슬라가 2040년까지 최대 750만대의 자율주행차를 배치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자율주행 분야에서 테슬라의 선도적 위치는 자동차 소유자를 고도로 반복하며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구독자로 전환할 수 있다”고 했다. 전기차 소유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구독료를 지불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테슬라는 주행 보조 장치인 FSD의 경우 월 100달러의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박윤철 iM증권 연구원은 “예상되는 트럼프 정책으로 인해 물가, 채권금리 상승으로 (테슬라) 주가를 낮출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도 “자율주행, 로봇 등 규제 완화 테마들에서 추가적으로 긍정적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