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서학개미가 주요 주주로 등극한 종목은 거품이 빠지면 곧바로 주가가 급락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아이온큐’와 ‘리게티컴퓨팅’ 등 양자컴퓨터 관련주와 테슬라 주가 하루 변동 폭의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 ‘디렉시온 Daily TSLA Bull 2X Shares(TSLL)’, 나스닥 지수의 하루 등락률을 3배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ULTRAPRO QQQ ETF(TQQQ)’에 대한 서학개미의 투자 비중(시가총액 대비 예탁원 보관 금액)이 10~20%, 많게는 5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러스트=챗GPT 달리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양자컴퓨터 테마주로 엮인 리게티컴퓨팅 역시 한국인 투자 비중이 11%에 이른다. 리게팅컴퓨팅 주가는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1달러를 조금 넘었는데, 서학개미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올해 초 20달러까지 폭등했다. 현재 주가는 10달러 수준이다.
예탁원이 데이터를 집계하지 않아 정확히 투자 비중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최근 한 달 서학개미의 자금이 쏠린 실스크, 아브로보틱스, 앰플리테크그룹 역시 한국 투자자의 투자 비중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스크도 국내 자금을 대거 빨아들였다. 실스크는 ‘양자 저항’이라는 새로운 칩을 개발하는 회사라고 하지만 지난해 상반기 매출이 480만달러(약 70억원)에 불과하고 이익도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초까지 50센트 안팎이던 주가가 이달 초 7~8달러까지 오르는 동안, 서학개미가 실스크를 순매수한 금액은 1억2000만달러가 넘는다.
주가가 4달러 수준으로 하락한 16일 기준 실스크의 시가총액은 4억달러 수준이다.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동전주’이지만,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제 2의 엔비디아’가 될 가능성이 있는 주식으로 소문이 난 만큼 서학개미의 보유량이 절대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서학개미의 투자 비중이 높은 종목은 유의해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해외 주식 투자 양상을 보면 간단한 기업 분석도 없이 ‘양자컴퓨터 관련주다’ ‘AI 관련주다’라고 알려지면 무조건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며 “실적 개선이나 성장 가능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거품이 꺼지고 물량을 받아줄 투자자가 없어 결국 주가가 폭락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폭탄 돌리기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연선옥 기자(actor@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