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서 'IPO·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세미나'…금융위 상반기 관련법안 발의 추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국내 기업공개(IPO) 시장 왜곡의 주요인으로 지목된 기관투자자의 단타성 투자를 막기 위해 해외에서 성공적으로 도입된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와 '사전수요예측 제도'를 국내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는 일정 기간 보호예수를 조건으로 증권신고서 제출 전 기관투자자에 사전 배정을 허용하는 제도다. 사전수요예측 제도는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수요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허용하는 제도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공동세미나'에서 국내 IPO 현황을 진단하고 해외 사례를 소개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관투자자 간 공모주 배정 경쟁으로 높은 가격의 입찰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요예측 기관 입찰의 85%가 공모예정가 밴드의 상단 또는 초과한 가격으로 형성됐다.
이 연구원은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홍콩, 싱가포르, 유럽 등지에서 성공적으로 도입한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의 국내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확실한 공모주 또는 IPO 시장 침체 상황에서도 투자 유치의 불확실성을 축소할 수 있다"며 "대형 기관투자자의 가격정보 제공으로 인한 가격발견 기능도 제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공모 배정 물량의 보호예수에 따른 시장의 안정화도 기대 효과로 들었다.
미국의 경우 증권거래위원회(SEC) 등록 전 적격 기관투자자와 소통해 IPO 수요를 판단할 수 있도록 2019년부터 TTW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영국은 미국의 TTW와 유사한 파일럿 피싱 제도를 통해 IPO 전 일부 기관투자자와 시장 선호를 평가하고 공모가를 조정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한다고 이 연구원은 소개했다.
일본 역시 2022년 적정 공모가 밴드를 위해 기관투자자 수요 정보의 사전 취득을 허용했다.
이날 금융위는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IPO·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공개하면서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와 사전수요예측 제도 도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상반기 중 법안 발의를 추진하고 이후 세부 사항을 하위법령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jos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