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관련 ETF에서 자금 순유출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달러 투자에서 손을 떼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최근 한 달 사이 개인투자자들은 KODEX 미국달러선물 ETF를 11억원 가량 순매도했다.
달러 가치 상승에 더 크게 베팅하는 KODEX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 KIWOO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 등도 같은 기간 자금을 뺐다.
이처럼 개인투자자들이 달러와 관련한 투자에서 모두 손을 떼는 건 그만큼 달러 향방이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후 지난달 20일 취임 첫 날 행정명령에 보편관세 부과가 제외되면서 시장은 안도했고 달러인덱스는 107선으로 다시 낮아졌다.
하지만 관세를 놓고 다시 트럼프 대통령이 냉온탕을 오가면서 달러 역시 변동성이 커졌다.
앞서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강행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날 돌연 캐나다, 멕시코 정상과 대화 후 이들 나라에 대한 관세는 한 달 유예하기로 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가 어느 정도에서 결정될지 알 수 없게 되면서 상대국의 보복 대응 전망도 어렵게 됐다.
현 수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인상을 마무리하고 상대국 보복도 제한적인 전망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대로 보편관세를 밀어붙여 글로벌 관세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양 극단의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중국의 내수부양 의지와 통화정책 공조에 따른 위안화 강세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간 예정된 정상회담에서 환율과 관련해 어떠한 발언이 나올지 등 달러 가치에 민감한 변수들이 예고돼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