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챗GPT 달리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1월 2일~2월 4일) 개인 투자자들은 ‘KODEX일본부동산리츠(H)’를 3억1400만원어치 순매도했다. 지난해 12월 개인은 2억6000만원을 사들이며 매수세를 보였지만, 한 달 만에 상황이 반전됐다. 국내 투자자는 지난해 일본 리츠 ETF를 총 100억원 규모 순매수했다.
국내 상장된 리츠 ETF 12개 중 일본 리츠 상품은 지난해 가장 높은 배당수익률(연간 8.65%)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이 일본 리츠 ETF에서 자금을 빼는 이유는 일본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 중앙은행(BOJ)은 엔저(엔화 가치 하락)가 지속되자 지난달 24일 정책 금리를 연 0.5%로 올렸다. 이에 따라 일본 금리는 17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올 하반기에도 BOJ가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나온다.
또 국내 상장된 유일한 일본 리츠 ETF인 KODEX일본부동산리츠(H)는 환(換)헤지형이라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엔화 상승에 따른 환차익 효과도 얻기 힘들다. 100엔당 원홧값은 지난해 7월 856.19원으로 저점을 찍고 이달 4일 936.59원으로 10% 정도 올랐다.
개인들은 올해 들어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등 국내 리츠 ETF 5종을 201억원 규모로 사들였다.
한국은행은 이번달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를 연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16일 “금통위원 6명 전원이 3개월 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냈다”며 2월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시장 기대에 맞춰 2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했다.
금리가 낮아지면 건물 매입 등에 쓰일 자금의 조달 비용이 줄면서 리츠 배당이 늘어날 수 있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올 초 리츠의 손익과 배당에 가장 중요한 조달금리가 하락세”라며 “단기 조달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와 기준금리가 거의 같아진 상황에서 CD금리 하락은 (리츠 상품의) 즉각적인 비용 하락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