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를 가르는 응급 상황을 그리며 시청자들에게 긴장감을 선사한 동시에 의료현장에서 겪는 의료진의 고충과 헌신을 주요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으로 풀어 극의 몰입감을 한층 더 높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외상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나 압박 등으로 인해 신체에 발생하는 손상으로 그 정도와 심각성에 따라 분류한다. 작은 상처, 찰과상, 타박상 등 경미한 외상부터 출혈, 골절, 장기 손상 등 응급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외상까지 다양하다.
중증외상은 여러 부위가 동시에 손상되거나 손상이 심각하고 광범위해 생명에 직결될 수 있는 상태로 뇌, 심장, 간 등 주요 장기의 손상, 내부 장기 출혈, 3도의 큰 면적 화상, 척추 손상, 다발성 골절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외상은 드라마 속에서만 일어나는 사건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외상은 일상생활에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사고다.
킥보드 사고.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질병관리청의 '2023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에 따르면, 중증외상의 주요 발생 원인은 운수사고(49.1%), 추락·미끄러짐(43.8%), 둔상(4.1%), 관통상(1.8%)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장소는 도로와 도로 외 교통지역(49.0%), 집·주거시설(25.5%), 산업·농업시설(14.4%) 순으로 나타나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중증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응급실에 내원한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환자의 75%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으며, 중증외상 환자의 두부 손상이 40%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헬멧 착용 등 안전한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하다.
운수사고 예방을 위해 속도, 신호, 불법 주정차 등 교통법규를 지키고, 음주 운전을 금하며 졸음 등 운전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약물 복용 후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한다. 또 안전벨트 착용을 반드시 실천하고, 운전 중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하지 말아야 한다. 평소 타이어, 브레이크, 방향지시등, 라이트 등 차량 점검에 신경 쓰도록 하며 피로나 졸음으로 집중력이 떨어졌다면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
개인형 이동장치는 외부로 신체가 노출된 상태로 주행하므로 헬멧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승차 정원을 준수해야 한다. 음주 후 운전은 절대 금하며 휴대폰 사용이나 이어폰 착용은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금한다. 기상 악화나 야간에는 사용을 자제하고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안전거리 확보와 서행하도록 한다.
추락·미끄러짐 예방을 위해 빗길, 눈길 등 미끄러운 곳이나 어두운 곳은 피하고, 산행 시에는 등산화와 등산 스틱을 사용하며 본인 체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야 한다. 가정에서는 물건을 정리해 장애물이 없도록 하고, 계단이나 욕실 등은 미끄럼 방지 처리를 해야 한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