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분리’ 불가능한 제도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
정치권 등은 질환교원심의위원회의 법제화 검토
교사노동조합연맹 로고. 교사노동조합연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교사 10명 중 9명이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심리검사 등에 반대한다는 교원 단체 설문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이날 공개한 긴급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모든 교사의 정신건강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나’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87.9%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와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가 9.2%와 78.7%로 나타났고, ‘동의한다’와 ‘매우 동의한다’는 3.7%와 1.2%다.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7.2%다.
조사는 대전에서 교사의 흉기에 김하늘(8)양이 찔려 사망한 후 진행됐으며, 지난 17~18일 전국의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조합원을 대상으로 이뤄져 총 816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이어 △보호자 대면 인계 등 돌봄교실 안전지침 미비(33%) △고위험 정신질환 교원 현황 파악과 관리 부족(14.8%) △CCTV와 관리 인력 등의 부족(14%)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감 직속 질환교원심의위원회에 학생이나 학부모가 위원으로 참여하는 것을 두고도 이 단체는 “전체 응답자의 98.3%가 반대했다”며 “학부모단체가 추천한 위원의 참여에도 96.2%가 반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원 임용 관련 절차에 학생이나 학부모 또는 학부모단체 추천 위원이 참여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의견이 있다면서다.
응답자들은 ‘전조 증상 시 교육 당국 직권 분리 조치와 진료’를 가장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지목했다. 학교 안전을 위한 법안 초점은 ‘정신질환을 가진 교사’가 아닌 폭력적 전조 증상을 보이는 학교 구성원에 맞춰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당 안이 ‘진단과 치료’ 대신 ‘걸러내기와 업무 배제’에 초점을 맞춘다며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는 지난 18일 신규 교원 채용 시 이른바 ‘고위험 교사’를 사전에 거를 수 있도록 교직 적성 심층면접을 강화하는 내용의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 관련 대응 방향’을 밝혔다.
임용시험 면접관에게 응시자의 적·인성 검사 결과 등을 사전에 제공하고 면접 시간도 대폭 늘려 교원 적격성 여부를 더 꼼꼼히 점검한다는 의도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