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순매수 4번째 규모
올해 낙폭 41%, 비트코인(20.78%)의 2배
바이비트 거래소 해킹 후에도 매수세 지속
[게티이미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국내투자자들이 올해 사들인 해외주식 상위 5개 중 이더리움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포함됐다. 정작 이더리움은 올 들어 고점 대비 41% 하락하며 비트코인보다 2배 큰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투자자는 올해 이더리움 레버리지 ETF인 ‘2X ETHER’를 6일 기준 2억4377만달러(약 3524억원) 순매수했다. 해외주식 순매수 4위 규모다. 테슬라(14억9475달러), 테슬라 2배 레버리지 상품(DIREXION DAILY TSLA BULL 2X SHARES·12억1920만달러), 팔란티어(2억6621달러) 다음이다.
국내투자자들이 상승에 베팅했지만 정작 이더리움 가격은 올 들어 하락 곡선이다. 지난 1월 7일 3688.34달러(오전 9시)로 고점을 기록한 뒤 지난 4일 2145.65달러(오전9시)로 41.83% 감소했다. 비트코인이 기록한 올해 고점(10만6136달러) 대비 저점(8만4076달러) 낙폭(20.78%)의 2배다.
이더리움 약세 원인은 매크로 변수에 더해 시장에서 호재로 인식할 이벤트가 부재한 점도 꼽힌다. 경쟁 플랫폼으로 꼽히는 솔라나 생태계에서 밈 코인 열풍이 불었지만 이더리움은 주목받지 못했다. 전날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탈중앙화 거래소(DEX) 거래량은 최근 일주일 기준 226억6200만달러를 기록했다. 솔라나는 182억8600만달러를 기록해 2위지만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첫 ‘가상자산 서밋’(Crypto Summit)에서 규제 완화와 스테이블코인 입법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미국을 세계의 비트코인 초강대국이자 가상자산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며 “우리는 그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역사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테이블 코인 법안은 오는 8월 여름휴회 이전에 통과시키겠다고도 했다. 이번 행사는 업계 관련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로서 시장 일각에서 기대한 진일보한 정책은 드러나지 않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