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와 증시 급락 영향으로 1% 넘게 내린 1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32.79포인트(1.28%) 내린 2537.60으로 집계됐다. 2025.3.11 권도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 여파로 경기침체 우려가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기술주가 무더기 폭락하면서 미국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지수는 하루 만에 4% 급락, 2년 반 만에 최고 낙폭을 기록했다. 코스피 지수도 11일 1% 넘게 하락하면서 덩달아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32.79포인트(1.28%)내린 2537.60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엔 2.5%까지 떨어졌으나 미국 증시 선물이 상승 전환하면서 낙폭을 줄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60% 내린 721.50에 거래를 마쳤다.
일본 닛케이225지수(-0.64%), 대만 가권지수(-1.73%) 등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닛케이지수는 장중 2.8%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m0312h?????????????.jpg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 증시 약세와 미국 증시 급락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경기침체를 감수하면서도 관세 정책을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내면서 시장의 공포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경기·주식 대신 관세를 선택하겠다고 시사한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상자산도 폭락했다. 비트코인의 글로벌 가격은 이날 개당 장중 7만8000달러선 아래로 떨어졌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증시가 과하게 조정받는 측면이 있지만, 미국은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고금리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한 축이 있고 자산이 그동안 고평가됐었다는 것이 주식시장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