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61명 채팅방서 ‘국회 결의대회’ 논의
강성 지지층 중심 적극 대응 주문에
120~130명 규모 반탄 집회 가능성
여론 역풍 우려…“지도부 나가선 안 돼”
국민의힘의 이종배(왼쪽), 이만희 의원이 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각하를 촉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진·주소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기각 및 각하를 촉구하며 헌법재판소 앞 릴레이 시위를 이어가는 국민의힘 ‘반탄(탄핵 반대)파’ 의원들이 투쟁 수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헌재가 탄핵심판 선고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장고하면서 대국민 여론전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전체 의원의 절반을 넘는 이들이 강경 투쟁에 나설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장외 투쟁에 선을 긋고 있는 ‘쌍권(권영세·권성동)’ 지도부를 향해서도 “밖으로 나가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헌재 앞 24시간 릴레이 시위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 61명이 참여하는 텔레그램 단체채팅방 ‘헌재’에는 전날(19일) 투쟁 강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메시지가 올라왔다. ‘탄핵 반대’ 천막을 국회에 설치하고 원외 당협위원장, 당원들이 참여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앞서 반탄 모임에 참여했던 원외 위원장 60여명을 포함해 사실상 120~13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반탄 집회를 추진하자는 제안이다. 간사 역할을 맡고 있는 재선의 구자근 의원은 채팅방에서 ‘헌재 앞 농성에 더 많은 국민들의 관심과 의원들을 모으자는 의견이 있었다’는 취지로 배경을 설명했다.
논의를 주도한 건 당내 반탄 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중진과 친윤계 의원들이다. 5선의 김기현·나경원 의원과 3선의 김정재·정점식 의원, 재선의 구자근·박성민 의원, 초선의 조지연 의원은 같은 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한 차례 논의를 나눴다. 회의에 참석한 의원은 “(탄핵 기각 및 각하 시위)의 국면을 전환할 방법을 모색했다”고 했다.
한층 더 강경한 투쟁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국민의힘 지도부에도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기독교단체 주축으로 열리는 반탄 집회나 릴레이 시위에 참여하는 의원들을 적극 제지하지 않되, 당 차원의 참여에 선을 긋는 전략을 취해 왔다. 지지층의 반탄 여론과 집권당으로서 중도 여론을 모두 감안한 일종의 ‘투트랙’ 전략이다. 하지만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왜 집회에 나오지 않느냐’는 문자 폭탄 세례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