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토허제 지정으로 반포 일대 부동산 마비
빗발치는 매수자 문의 전화·상담 요청에 ‘북새통’
“거래량은 줄지만 가격 하락은 없을 것”
19일 서울 서초구 잠원동 ‘반포센트럴자이’ 아파트 정문 모습. [정주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정주원 기자] “인근 주민들이 사무실에 들어와서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물어보는 건 물론이고, 처음 받는 전화도 엄청나게 오네요. 내부 상담을 진행할 수 없어서 아예 문을 잠갔어요.” (서초구 반포동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
19일 오후 찾은 서울 서초구 반포·잠원동 일대는 갑작스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혼란스러운 모습이었다. 이날 서울시는 집값 상승세를 잡기 위해 강남·서초·송파·용산 4개구의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극약 처방을 내놨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으로 꼽히는 서초구는 갑작스런 규제 지정에 공인중개업소 전화가 불이 났다. 불쑥 들어와 묻는 손님도 늘면서 상담도 쉽지 않았다.
19일 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차’ 아파트 단지 모습. [정주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당장 이번 주말까지 마무리를 하지 않으면 토허구역 해제 기간인 6개월 간 거래를 하지 못한다. 단 6개월 만임에도 매수자들이 조급해진 이유는 앞서 잠실·삼성·대치·청담을 대상으로 했던 토허구역 지정이 5년을 이어온 데다가, ‘한달 만에 정책 번복’으로 정책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다.
반포 A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원래 이 지역 갭투자 수요가 특히 많다. 입주할 수 있는 물건은 귀해 가격이 올라가, 대부분 세를 둔다”며 “대치·청담동 등 인근 지역의 토허제가 한 달간 풀리면서 2주 전부터 매물이 다 들어가고 있어도 호가가 너무 비싸 수요자들이 좋은 매물이 나올 때까지 눈치를 보던 상황”이라고 했다.
인근 공인중개사무소에서도 “입주할 수 있는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 판상형 매물의 매매 호가가 지난주 토요일 63억원까지 올랐다. 불과 지난달만 해도 52억~54억원대였는데 토허제 해제 여파로 호가가 약 8억원 가까이 급등했다”며 “오후에는 갭투자 가능한 같은 동 전용 84㎡ 매물이 54억원이라는 좋은 조건에 나와 급매 문의하신 분들께 다 연락을 드리고, 바로 결정할 수 있는 분의 대답을 기다리는 중이다. 일요일 전까지는 계약을 마무리해야 해 경쟁이 치열하고 긴박하게 돌아간다”고 설명했다.
19일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아파트 단지 모습. [정주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포 B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오랜 기간 토허제로 묶여있던 잠실과 대치동 등이 한 달 사이에 가격 폭등을 이루고 그 오름세가 주변으로 전달되는 상황에서 규제로 다시 묶는다 해서 상승세가 꺾일 거라는 예상은 아무도 하지 않는다”며 “이곳 집주인들 역시 한번 형성된 가격이 내려갈 거라고 예상하지 않고, 오히려 6개월을 기다리면 추후 풀릴 때 지금보다도 가격이 더 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래미안원베일리’ 아파트 단지 내 상가 공인중개사무소 모습. [정주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포 C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규제 기간 갭투자가 불가능해 매수자는 눈치싸움에 초조하고, 매도자는 여유로운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당장은 매물·거래가 줄고 보합·관망세가 유지될 수 있으나, 그만큼 토허제가 해제됐을 때의 가격 상승 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는 토허제 확대로 단기적인 거래 감소 효과는 있을 것으로 내다봤으나, 장기적으로 가격 억제 기능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전에 토허제 지정된 구역 면면을 살펴보면 가격 통제 정도가 강하진 못했다”며 “자금력 있는 거주 수요는 막을 방법이 없다. 의무 거주 기간에 맞춰 매입하려는 수요는 오히려 늘어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