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정기주총 시즌서 사업목적 변경안 등
인터넷은행 철회한 더존비즈온, 마이데이터 사업 진출
딥노이드는 병원MSO, 외국환자 유치 등 추가
AI데이터센터 임대업, 주차장 관리업 등도
임종철 디자인기자 /사진=임종철 디자인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월 정기 주총 시즌에 사업목적 추가 등 안건을 상정한 기업들이 눈길을 끈다. 대내외 거시경기 불안이 지속되면서 종전 사업 포트폴리오 이외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한다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체계에 따르면 오는 26일 주총을 여는 더존비즈온은 본인신용정보 관리업(마이데이터)을 정관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안건을 상정한다. 더존비즈온은 차기 인터넷 은행 유력 후보라는 평가를 받아왔음에도 최근 예비인가 신청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해 업계 안팎의 주목을 받았다.
사업목적을 추가한다고 해서 곧바로 대대적인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건 아니다. 그럼에도 ERP(전사적자원관리) 등 각종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비롯해 지난해부터 기업용 AI(인공지능) 솔루션 사업에서도 수익 창출에 성공한 더존비즈온이 마이데이터를 어떻게 사업화할지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지니언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496억원 중 83.6%가 NAC, EDR 등 제품 판매에서 발생했다. 이 회사는 올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EDR 기반 관리형 탐지·대응 서비스를 출시한다. 단말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상시 정보 수집 등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와 관련한 사업목적이 추가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 통합자문업 추가는 제로트러스트 사업 강화와 관련돼 있다.
자사의 본업을 확장시킨 신사업을 추가한 곳도 있다. 국내 1세대 의료AI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바탕으로 산업·보안 AI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딥노이드는 28일 주총에서 △병원 MSO(경영지원사업) △병원 시스템 통합구축 서비스 개발·제작·판매 △의료용 진단사업 △외국인 환자유치업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안을 상정한다. 로봇 자율주행 솔루션 및 로봇 관제 솔루션 전문기업 클로봇은 △로봇 구독 서비스 △물류자동화 설비구축 관련 사업 등을 신규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안을 같은 날 주총에 올린다.
이외에 글꼴 폰트 등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공급하는 산돌은 26일 주총에 '광고업 및 광고대행업' 사업목적 추가안을 올린다. XR(확장현실) 솔루션 기업 버넥트는 옥외광고업과 전시관 운영, 무인점포업 등을, 교통 솔루션 업체인 에스트래픽은 주차장 운영 및 관리업을 각각 사업목적에 추가하는 안건을 상정한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