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나누면 더 커지는 온기… 취약계층을 향한 손길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실외 환풍기 옆에 자리 잡은 노숙인.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올 겨울 진행된 ‘특별 보호 대책’기간 동안 취약계층을 위한 거리 상담을 제공했다.

특별 보호 대책 기간은 지난해 11월 15일부터 4개월 간 이어졌으며 거리 상담은 약 6만9000여건이 이뤄졌다.

자치구와 노숙인 시설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상담반 53개조 108명이 거리에서 상담을 제공했으며 총 상담건수는 6만8912건으로 집계됐다.

응급 잠자리 이송 보호가 514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시설 입소(117건), 병원 입원(109건), 신고(38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응급 잠자리를 이용한 인원은 하루 평균 389명이었으며, 무료 급식은 1560명이 이용했다.

시가 제공하는 응급 잠자리 이용을 원치 않는 노숙인에게는 침낭 268개, 의류 1만8329벌, 핫팩 9만7724개 등 총 20만6041개의 방한용품을 지급했다.

고령자, 중증질환자 등 한파 피해 우려가 큰 노숙인 129명은 집중관리대상자로 분류해 상담원이 노숙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했다.

민간 단체도 함께 도움에 나섰다.

봉사단체 ‘거리의천사들’과 ‘달팽이소원’은 매일 서울특별시립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강남권(송파·강동·강남·서초구)거리 상담 활동에 함께했다.

서울에 사는 외국인으로 구성된 봉사단체 ‘플러’는 매주 일요일 서울역 일대를 돌며 노숙인에게 핫팩, 간식 등을 나눠주며 봉사활동을 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는 노숙인, 쪽방 주민을 위해 핫팩, 방한 장갑, 양말, 겨울 이불, 마스크 등 방한 및 방역물품으로 구성된 10만원 상당 구호키트 1840개를 제작해 배포했다.

노숙인과 더불어 쪽방 주민을 향한 다양한 지원도 이뤄졌다.

지난해 9~10월 화재 위험이 높은 쪽방촌 648개소를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진행했으며, 노후 불량으로 확인된 전기·가스 시설물 176개는 개보수 완료했다.

김미경 서울시 자활지원과장은 “올해도 노숙인의 자립과 쪽방 주민의 쾌적한 생활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따뜻하고 매력 있는 서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