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원장(우측 첫째)이 세계은행 글로벌 디지털 회담에 참여해 포용적 인공지능(AI) 국제협력 업무을 제안하고 있다. NIA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17~20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세계은행 본부에서 진행된 ‘세계은행 글로벌 디지털 서밋(Wolrd Bank Global Digital Summit) 2025’에 참석해 인공지능(AI) 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격차해소를 위한 국제협력 기반을 다졌다고 21일 밝혔다.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 총재, 김상부 디지털 전환 부총재를 비롯한 각국의 정부·공공·민간 분야의 고위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서밋에서 NIA는 한국의 디지털 전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의 인공지능 발전을 지원하는 체계적 협력 업무를 제안했다.
황종성 NIA원장은 19일 진행된 ‘AI Connect: Empowering People’ 분과 세미나에서 △전자정부 도입 △데이터 기반 정부혁신 △인공지능 대전환 등 한국의 디지털 발전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그는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글로벌 디지털 격차 확대를 해소하기 위해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나이지리아, 부탄과 손잡고 추진한 AI 기반 정보접근센터 협력 사례를 소개하는 등 협력국의 소버린 AI을 위한 한국의 포용적 인공지능 국제협력 업무를 소개했다.
부대행사인 혁신 기술 전시회에서 NIA는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AI 허브 및 AI 학습 데이터 활용 사례, 개도국 정보접근센터, 한국 AI 기업 우수 사례를 선보이며 이목을 끌었다. NIA 부스에는 이집트·도미니카·몽골·토고 등 여러 국가의 관계자와 세계은행 임직원들이 진흥원 전시관에 다수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