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검찰, 문상호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 밝혀
문 측 “공소사실 인정하지 않는다” 부인
문 측 “공소사실 인정하지 않는다” 부인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사태 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병력을 보낸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육군 소장)이 당시 부하들에게 “TV를 보면 우리 임무가 적법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군검찰이 21일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군검찰은 이날 서울 용산구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문 전 사령관에 대한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 공판에서 이같이 말했다.
영문도 모른 채 중앙선관위로 출동해야 했던 정보사 요원들에게 윤석열 대통령이 TV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모습을 보면 임무의 적법성을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풀이된다.
군검찰에 따르면 문 전 사령관은 지난해 10월 중순 정보사 소속 대령 2명에게 정보사 예하 특수부대인 HID소속 요원을 포함해 임무를 수행할 요원을 각각 15~20명씩 선발하라고 지시했고 이후 최종 선발된 정보사 요원 40명의 명단을 보고 받았다.
선관위에 들어간 계엄군.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저녁 노 전 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당시 정보사 계획처장에게 중앙선관위 청사로 들어가 출입을 통제하고 전산실 위치를 확인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계획처장은 부하들에게 비상계엄 선포 전인 저녁 9시께 중앙선관위 과천청사 정문 인근에게 대기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문 전 사령관은 지난달 4일 공판준비기일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도 군검찰의 공소사실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문 전 사령관의 변호인은 군검찰의 공소내용에 대해 “세부적인 부분이 좀 다른 부분이 많다”며 “그것은 증인 신문을 통해서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법원은 내달 10일로 예정된 다음 공판 때 체포 및 구속 절차의 적법성 여부에 대해 양측 의견을 검토해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