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산가스 개발 협력 모색
포스코·SK 등과 면담 추진
총 64조원 규모 대형 프로젝트
정부, 에너지 안보 다변화 기대
투자 실효성 놓고 신중모드 예상
포스코·SK 등과 면담 추진
총 64조원 규모 대형 프로젝트
정부, 에너지 안보 다변화 기대
투자 실효성 놓고 신중모드 예상
다음 주 방한하는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가 국내 에너지 기업들과의 개별 면담을 추진한다. 알래스카 지역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 협력를 논할 기업 파트너를 찾기 위해서다.
21일 당국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24~25일 한국을 방문하는 던리비 주지사는 SK, 포스코 등과 미팅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통상·에너지 당국자들과 만날 예정인 던리비 주지사는 실질적인 개발 사업을 협력할 기업들과도 연쇄 회동을 가지는 셈이다.
각 그룹사의 에너지·자원개발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E&S, 포스코인터내셔널, 세아제강과 같은 기업들이 실무적으로 협력할 기업으로 언급된다. SK에선 북미사업을 총괄하는 유정준 SK미주 대외협력 총괄 부회장이 직접 던리비 주지사를 만날 것으로 점쳐진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북부 지역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약 1300㎞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남부 해안으로 운송한 뒤 액화해 수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총투자비만 440억달러(약 64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초대형 개발 사업이다.
한국 정부 입장에서도 대미 무역흑자 규모를 줄여 미국의 관세 등 무역 압박을 덜어내고 천연가스 수입선을 다변화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에너지업계 기업 상당수는 이미 미국에서 10년 넘게 LNG 사업을 하고 있는데다 ‘개발-운송-공급’으로 이어지는 LNG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경우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미얀마에서 대규모 가스전 개발 사업을 성공시킨 경험이 있는만큼 LNG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강관 전문 기업인 세아제강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필요한 강관의 사양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다만 한국 기업들은 투자 실효성과 가치를 놓고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혹독한 추위와 막대한 투자 부담과 같은 위험으로 인해 알래스카 프로젝트가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에너지업계서는 투자 개발비나 개발기간이 예상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다음주 면담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사업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듣고 다각도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5.03.19 대통령실사진자단 이승환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